•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친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 전우(田愚)와 외필논쟁(猥筆論爭) (A Weary Mirror of Neo-Confucian Thought: Jeon Woo(田愚) and the Eopil-Debate(猥筆論爭))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9
36P 미리보기
지친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 전우(田愚)와 외필논쟁(猥筆論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106권 / 3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이 글은 외필논쟁과 전우 성리학의 상호작용을 탐구한 것이다. 전우의 저술 가운데 외필논쟁과 연관된 27가지 자료를 간추리고 이들을 시기적으로 3단계로 나누어 서술한다. 첫째 시기는 1891년으로 그는 신득구와의 교유을 배경으로 「외필」의 학술적 경향성을 단편적으로 언급했다. 둘째 시기는 1902년에서 1905년에 이른다. 전우는 권봉희에게 자극을 받아 본격적으로 외필논쟁에 참여했고, 가장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외필변」과 「외필후변」이다. 셋째 시기는 1914년에서 1916년에 이른다. 각 시기를 경과하면서 전우의 서술은 단편적인 논평에서, 「외필」의 조목별 비판, 기정진 성리학 일반의 평가, 나아가 이항로 및 이진상과 심설논쟁의 쟁점을 포괄하는 비평으로 확장되었다. 이 모든 과정에서 일관된 성리학적 판단의 기준은 ‘리무위 기유위’와 ‘리의 주재’라는 발상이었다. 결국 전우의 성리학은 일종의 율곡 정전주의에 기초해서 외필논쟁과 심설논쟁 및 앞선 주리적인 성리학적 경향성에 대한 포괄적 반론으로서 정립되었다. 이런 점에서 전우는 그보다 앞선 세대의 사유를 비춰주는 성리학적 사유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남겨진 질문은 이 거울의 이론적 성격뿐만이 아니다. 오히려 어떤 역사적 성격이다. 이것은 16세기의 이이를 근거로 19세기의 사유를 20세기초에 논쟁했다는 구체성에서 비롯된다. 전우 성리학에 대한 탐구와 토론에서 이 질문의 의미를 숙고하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linear explor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opil-Debate(猥筆論爭) and the Jeon Woo(田愚) Neo-Confucianism. His 27 writings related to the Eopil-Debate are summarized and described in three stages in a timely. In 1891, the first period, he discussed the academic trend of Eopil(猥筆) in pieces against the backdrop of his friendship with Shin Deukgu(申得求). The second period ranges from 1902 to 1905. Kwon Bonghee(權鳳熙)'s letter provided him with a problem consciousness, and Jeon Woo participated in a full-fledged the Eopil-Debate and left the most writing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ones were ‘Eopilbyun(猥筆辨)’ and ‘Eopilhoobyun(猥筆後辨)’. The third period ranges from 1914 to 1916. Throughout each period, it was expanded from fragmentary comments to criticism by article of Eopil(猥筆), general evaluation of Gi Jeongjin(奇正鎭) Neo-Confucianism, and further to criticism that encompasses issues of Lee Hangro(李恒老) and Lee Jinsang(李震相) and the Simseol-Debate(心說論爭). In all of these processes, the consistent criteria for Neo-Confucian judgment were the ideas of 'Li as Muwi(無爲理)', 'Ki as Yuwi(有爲氣)', and 'Li as Presiding'. Based on a kind of Yulgok(栗谷) orthodoxy, he was established as a comprehensive counterargument to the Eopil-Debaten and Simseol- Debate and the Neo-Confucian tendency centered on Li in the previous era. In this respect, Jeon Woo can be said to be a mirror of Neo-Confucian thought 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question that emerges here is the historical nature of this mirror.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is question in his quest for Neo-Confucianism and discussion will have more significance than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