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ESS 화재 원인 분석 및 국내외 안전관리 기준 검토 비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Domestic ESS Fire Causes and Review and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Safety Managemen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21P 미리보기
국내 ESS 화재 원인 분석 및 국내외 안전관리 기준 검토 비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10권 / 12호 / 479 ~ 499페이지
    · 저자명 : 고재선

    초록

    에너지저장시스템 중 가장 효율이 높은 방식 중 하나가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한 ESS인데 다른 방식 대비 화재위험성이 높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롭게 증가하고 있는 ESS 화재에 대해 국내외 문헌 조사 및 실증 현장 조사, 화재사례를 바탕으로 발화원인을 파악, 검증하고자 함이며, 아울러 이를 통한 표준 및 취약한 안전기준 개발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화재 및 고장의 원인을 환경적, 전기적, 열적 요인으로 나누어 발화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ESS 화재예방을 위한 운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추론하고 검증하여 취약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한 표준 및 취약한 안전기준 개발 및 ESS의 안전성을 확보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로는 ESS 화재가 시스템의 설치환경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세부적인 원인으로는 먼저 급격한 연소의 확대 측면으로는 단일 셀, 모듈, 랙, 유닛에서 열폭주 발생하거나 ESS 관리 시스템(BMS, PCS, EMS) 고장 그리고 강제환기 또는 배출 시스템 고장과 연결 케이블 또는 전기 패널 내부 고온 현상에 의한 화재 등을 발견할 수 있었고, 둘째 장시간 화재 지속 측면에서는 연기 감지기, 화재 감지기, 소화 설비 또는 가스 감지기의 고장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아울러 환경적 요인으로 열에 취약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온의 환경에서 열 폭주의 잠재성을 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ESS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결론적으로 크게 철저한 안전관리시스템구축, 안전기준강화, 인증제도 도입, 규제 및 표준정비를 하여야 한다. 특히 국내외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규제 및 인증기준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규제개선을 통해 ESS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KC인증과 관련하여 안전을 위한 시험항목 개발 및 시험을 시행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efficient energy storage systems is ESS, which uses lithium-ion batteries but has a higher fire risk than other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verify the cause of ignition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surveys, field investigations, and fire cases regarding the recent increase in ESS fires, and to develop standards and weak safety criteria and secure the safety of energy storage devices (ESS). As a research method, the causes of fire and failure were divided into environmental, electrical, and thermal factors to identify the cause of ignition. In addition, variables tha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peration of ESS fire prevention were inferred and verified to identify vulnerabilities. Then, measures were proposed to develop standards and weak safety criteria and secure the safety of ESS. The research results from such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vealed that ESS fir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ystem's installation environment. As for the detailed causes, first, in terms of rapid combustion expansion, thermal runaway in a single cell, module, rack, or unit, failure of the ESS management system (BMS, PCS, EMS), failure of the forced ventilation or exhaust system, and fire caused by high temperature inside the connection cable or electrical panel were discovered, and second, in terms of long-term fire persistence, failure of smoke detectors, fire detector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or gas detector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lithium-ion batteries, which are vulnerable to heat as an environmental factor, have the potential for thermal runaway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refore, to secure the safety of 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orough safety management system, strengthen safety standards, introduce a certification system, and maintain regulations and standards. In particular, regulation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that are being strengthen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require efforts to continuously improve the safety of ESS through continuou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egulatory improvement.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est items for safety and establish infrastructure to conduct tests related to KC cer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