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필(猥筆)」의 외침 ―기사(騎士)는 죽었는가?― (The Cry of Eopil(猥筆) ― Is the Rider Dead?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2
30P 미리보기
「외필(猥筆)」의 외침 ―기사(騎士)는 죽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4권 / 213 ~ 242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외필」은 노사 기정진의 만년 저술이다. 이 저술은 20세기 한국 성리논쟁 가운데 하나라고 부를 수 있는 ‘외필논쟁’을 파생시켰다. 이 글은 「외필」의 철학적 성격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째, 조선 유학사에 나타난 주리/주기 이분법의 용례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외필」은 이이의 성리학이 주기론이라는 반론에 맞서, 주리적으로 해석하는 세 번째 용례를 확립하려는 저술이다. 둘째, 성리학적 사유 양식의 측면에서 「외필」을 살펴본다. 「외필」은 이이의 포함도식적 사유를 물려받았지만, 그릇과 내용물로서 리와 기의 관계를 역전시킴으로써 이이 성리학을 리 중심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한편 리에 힘을 도입하려는 이황식의 발상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도, 끝까지 ‘무위리’라는 원칙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이황으로부터의 거리감을 유지한다. 이런 점에서 「외필」에 나타난 성리학적 사유는 이황과 이이 성리학 사이의 독창적 혼성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국 이러한 내용은 담은 「외필」의 시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외필」은 조선의 사족들에게 그들 자신이 조선이라는 역사적 구성물의 위에 타 있는 기사라는 사실을 환기시켰다. 19세기말의 역사적 변동 속에서 사족들이 자신들의 도를, 자신들의 국가를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내적 논리를 성리학의 용어로 표현했다.

    영어초록

    Eopil is the work of Ki Jeong-jin(奇正鎭) in his old age. This work caused one of the 20th century Korean Neo-Confucianism controversies. It can be called a 'Eopil controversy.' This paper looks at the philosophical nature of Eopil in three ways. First, we look at this as an example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Juli(主理)/Juki(主氣) in the history of studying abroad in th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is, Eopil is intended to establish the third example of "Juli" by claiming that Yi Yi(李珥)'s Neo-Confucianism is Neo-Confucianism revolving around Li(理). Second, we look at Eopil in terms of the Neo-Confucian style of thought. Eopil inherited Yi Yi's schematic reasons. By rever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 and Ki(氣) as the contents of the vessel, it is reconstructed around Li. Meanwhile, Eopil partially embraces the idea of the Yi Hwang(李滉) to introduce power to Li. It maintains a distance from him in that it maintains the principle of 'Li by no action' until the end. The reason for the Neo-Confucianism shown in Eopil is based on the original mix of Yi Hwang and Yi Yi. Finall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imes in Eopil? This book reminded the scholars of Joseon that they themselves were jockeys on top of the historical structure of Joseon. Amid historical fluctu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scholars expressed in terms of Neo-Confucianism that they should do something for their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