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에서의 음악 활용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Extra-Curricular Music Program in Secondary Educati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09
17P 미리보기
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에서의 음악 활용 연구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2권 / 3호 / 179 ~ 195페이지
    · 저자명 : 정서희, 김수지

    초록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에서 음악을 활용한 연구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중등교육 현장에서의 음악 활용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기준에 따라 총 43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 동향을 개괄적으로 파악하였고, 이 중 프로그램 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한 연구 15편을 선정하여 대상자 특성 및 운영체제, 음악 활동 목표 및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외 활동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연구 수가 증가하고 유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었으며 개발연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음악 활용 분석 결과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며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그룹을 형성하여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활동목표로는 정서 영역 중 자기 관련 심리와 사회 영역 중 관계를 목표로 한 활동 비중이 높았으며, 활동 유형은합주 활동의 비중이 높았고 정서 영역에서는 연주 및 감상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는 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에서의 음악 활용이 정서를 조절하고 타인과의 협력을 경험하며 정서 및 사회적으로 성장하기위해 활용되고 있어 치료 접근으로서의 다양한 음악 활용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중등교육 내 음악활용에 대한 연구관심의 필요와 중등교육 현장에서 음악의 치료교육적 활용범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고 향후 연구발전과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 of music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in secondary educa tion, exploring the content and direction of using music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A total of 43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analysis criteria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s in research, and 15 studies focusing on program effect analysis and comparative analysis were analyzed for the charac teristics of the subjects, operational systems, goals, and methods of music activities. The analysis re sult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and more specific categorization of types as the importanc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was emphasized, with a high proportion of developmental research. The analysis of music utilization revealed a high proportion of studies tar 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any cases forming groups of interested students for activities.
    The activities primarily aimed at emotional areas related to self-psychology and social areas related to relationships. The most common activity type was ensemble activities, and in the emotional area, various activities centered 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were conducted.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music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in secondary education is employed to regulate emo tions, experience cooperation with others, and promote emotional and social growth, highlighting the need for diverse therapeutic approaches utilizing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research on the use of music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in secondary education, raising the ne cessity and potential for therapeutic use of music in secondary education set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