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필(猥筆)」, 1902-외필논쟁(猥筆論爭)의 시작- (Eopil猥筆, 1902 -The Beginning of Eopil-Debate(猥筆論爭)-)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03
36P 미리보기
「외필(猥筆)」, 1902-외필논쟁(猥筆論爭)의 시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100권 / 1호 / 91 ~ 126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기정진의 저술인 「외필」은 1878년에 나타났다. 외필논쟁은 1878년부터 1901년까지의 잠복기를 거쳐 1902년 본격화되었다. 그 이후 이 논쟁은 최소한 1941년까지 때로는 지속적으로 때로는 산발적으로 연관된 자료를 생산했다. 이 논쟁의 기점을 1902년부터 잡더라도 대략 40여년의 기간에 걸친 20세기의 전반기에 한국 유학계에는 조선 후기로부터 연속성을 가지는 성리논쟁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글은 그 가운데 1878-1902년까지 생산된 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878년에서 1901년 사이에 생산된 14편과 1902년에 생산된 57편의 목록을 제공하고, 이 논쟁의 시작된 1902년도의 사상사적 지형도를 개괄적으로 정리한다. 이를 통해 1902년 외필논쟁의 시작에 이르는 과정에 얽힌 사상사적 동향들을 구별해 낼 수 있다. 이이 성리학의 주리적 재구성을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 「외필」의 문제의식이 동시대의 화서학파의 사상적 지향성과 어떻게 공명했고, 그것이 영남 노론계와 연재학파 및 전우에게 끼친 영향과 그 반작용으로 나타난 텍스트들의 상호 연관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나타난 최익현이 지은 기정진의 「신도비명」이 현재 세 가지 종류가 남아 있게 된 까닭과 그 내용과 외필논쟁의 상호 연관성이 어떻게 노사학파와 화서학파 대 일부 영남 노론계 유학자 및 연재학파와 전우라는 전선을 그려내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비록 이 글은 각 인물들은 자신들의 학술적 입장과 사회적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입장을 보여주는 텍스트를 소개하고 정리했지만, 1902년은 이 논쟁 겨우 시작하는 시점이다. 1903년에서 1941년에 이르는 텍스트들의 정리와 그 내용의 개괄 이후에야 외필논쟁은 제대로 된 20세기 한국 성리논쟁의 일부로서 그 전모를 드러낼 것이다.

    영어초록

    Ki Jeong-jin's writing, "Eopil猥筆" appeared in 1878. The Eopil-debate began in 1902 after a period of incubation from 1878 to 1901. Since then, the debate has produced at least until 1941, sometimes continuously and sporadically associated text. Even if this debate began in 1902,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ich lasted about 40 years, there was a continuous Neo-Confucianism debate in the Korean Neo-Confucian communit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studies texts produced between 1878 and 1902. It provides a list of 14 texts produced between 1878 and 1901 and 57 texts produced in 1902. It outlines the historical and ideological topography of 1902, when the controversy began. Through this, we can distinguish between ideological and historical trends in the process leading to the start of the Eopil debate in 1902. Eopil began with the aim of reconstructing the Neo-Confucianism of Yi yi(李珥) around the concept of Li(理). This sense of problem influenced several contemporary ideological currents, namely Noron-line in Yongnam(嶺南老論係) and Yeonjae school(淵齋學派) and Jeonwu(田愚). The reaction resulted in the interaction of various texts. This article introduces and organizes texts that show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ir academic and social positions. However, 1902 was only the beginning of this debate. Only after a summary of the texts from 1903 to 1941 and a summary of their contents will the Eopil-debate reveal its full extent as part of a proper 20th-century Korean Neo-Confucianism deb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