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굴암 주실은 왜 원형당으로 만들어졌을까?―인도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The Circular Shrine of Seokguram and Its Indian Connec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5
30P 미리보기
석굴암 주실은 왜 원형당으로 만들어졌을까?―인도와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31호 / 98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혜원

    초록

    본고는 석굴암 주실을 원형당 형식으로 조성한 배경에는 7-8세기 동아시아에서 어느 때보다도 컸던 인도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가정 하에 석굴암 원형당에 나타난 인도적 요소를 논하였다. 우선 필자는 석굴암 주실의 외래적 요소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고, 인도에는 고대부터 원형 평면이 주요 건축 형식에 지속적으로 채용되어 온 전통이 있음에 주목하여 석굴암 주실의 원형 평면이 이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어 필자는 석굴암 본존과 보드가야(Bodhgaya) 성도상(成道像)의 밀접한 연관성에 주목하여 실제 붓다를 만난 것과 같은 경험을 주는 성도상과 궤를 같이하는 개념으로 실제 붓다가 머무르는 공간이라고 여겨진 간다쿠티(gandhakuṭī)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필자는 보다가야 성도상이 안치된 불당(佛堂)을 포함하여 4세기 이래 인도 각지의 사원 유적에서 발견된 간다쿠티라는 명칭과 관련 명문이 의미하는 붓다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간다쿠티 또는 향전(香殿)을 비롯한 인도 사원 건축에 대해 가졌던 관심에 대해서는 의정(義淨, 635-713)의 글이 주목된다. 필자는 향전의 형태에 대해서는 의정의 기록에 등장하는 불상을 안치한 솔도파(窣堵波)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는 한편 현장(玄奘, 602-664)과는 달리 법현(法顯, 337?-420), 왕현책(王玄策), 혜초(慧超, 700 또는 704-780) 등이 보드가야 성도처를 비롯한 붓다와 관련된 주요 성지에 있던 핵심 건물을 탑(塔)으로 칭한 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필자는 석굴암 주실이 원형으로 설계된 이유는 인도의 탑, 즉 복발형 스투파가 영감을 주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delves into the relation between Seokguram and Buddhist buildings in Indi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ast Asian Buddhists’ aspiration toward India in the seventh and eighth centur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the circular shrine type for the main chamber of Seokguram Grotto. The first part of the essay reexamines previous scholarship on the foreign elements found in Seokguram structure and suggests a possibility that the circular plan of the main chamber is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tradition in India, where circular plans were consistently adopted for major religious buildings from the ancient times.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term ‘gandhakuṭī (perfumed chamber),’ a dwelling place for the living Buddha. Its concept is in line with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Vajrasana Buddha image in Bodhgaya, which offered an experience to Buddhist followers as if they are encountering Śākyamuni in person. East Asian Buddhists’ interest in Indian Buddhist architecture including gandhakuṭī is discussed based on the writings and translation works of an influential East Asian pilgrim Yijing (635-713).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gandhakuṭī in Yijing’s writing as a stupa enshrining a Buddha image is further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main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pilgrimage sites related to Śākyamuni Buddha including Bodhgaya, which are referred to as ta or tap in the writings of Faxian (337?-429), Wang Xuance (fl. 7th century), and Hyecho (700 or 704-780). The essay concludes that the inspiration behind selecting the circular plan for the Seokguram main hall was Indian stupas, many of which were built on circular pl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