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교육 왜 실천하기 어려운가? (Why is fictional education difficult to put in practi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11
22P 미리보기
소설 교육 왜 실천하기 어려운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권 / 2호 / 69 ~ 90페이지
    · 저자명 : 고용우

    초록

    서사문학의 범위는 넓지만 특히 중‧고등학교 국어과에서는 현대소설이 압도적인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 교사들은 여전히 소설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 한다. 현장 교사들이 소설 교육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먼저 교육과정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의 ‘성격’에서는 ‘작품을 찾아 읽고 해석하며, 문학작품을 생산’하는 과목이라고 했으나 ‘교수‧학습 운용’에서는 ‘작품을 학습자의 삶과 관련지어 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찾아 읽고 해석’하는 과정을 소홀히 할 수밖에 없다. 이런 탓에 ‘성취 기준’을 제시했으나 그 수준이 모호하고, 제시된 작품의 범위와 수준도 지나치게 추상적이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교과서들은 대체로 ‘활동 중심’이라는 평을 듣는다. 그러나 ‘활동 중심’이 학습자의 활동 중심 수업이 되지 못하고 활동만 요란할 뿐 남는 것이 없다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 소설 한 편을 두고 많은 활동을 배치했지만 그 활동들이 소설을 깊이 이해하고 삶을 성찰하도록 이끌고 있다는 느낌이 별로 들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교과 교육이 각종 시험에 지나치게 종속되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 그런데 학생들이 치러야 하는 대부분의 시험은 5지선다형 시험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부 서술형 평가를 실시하기도 하지만 평가의 공정성 등을 의식해서 거의 단답형 문제에 가까울 뿐이다. 이런 평가 방식으로는 학생들이 소설 한 편을 온전하게 읽고 의미를 해석하고, 나름의 감상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런 시험의 형식을 거쳐서 산출된 성적이 학생의 문학 능력과 긴밀하게 연관되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는 것이다.
    학생들이 소설을 읽고, 스스로 해석하고, 의미를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기초적인 비평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를 바람직하게 구성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각종 시험의 기본 틀을 전환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range of narrative literature is extensive but modern fiction is dominantly handled in the subject Korean language especially in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on-the-field teachers are still at a loss as to how to provide fictional education. Then what is the reason behind the difficulty faced by on-the-field teachers in regards to fictional education?First, we can consider the problems with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characteristics’ in the domain of literature in the educational process defines it as a subject which “searches and interprets literary work and produces literature”, however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focuses mainly on ‘relating the literary work to the learner’s life’. Accordingly, the process of ‘searching, reading, and interpreting’ can only be relatively neglected. As such, an ‘achievement standard’ was proposed, however, its standards are ambiguous and the range and level of the proposed work are excessively abstract.
    Textbooks produced based on such educational procedure generally receive the assessment that they are ‘activity-oriented.’ However, such ‘activity orientation’ sometimes receives the criticism that it is unable to become the activity oriented class of the learner and such activity is only clamorous without much substance. This is because although many activities are arranged surrounding one fictional novel, in many cases, such activities fail to understand the fictional novel in depth and induce introspection of life.
    Curriculum based education tends to excessively dependant on various exams. However, most of the exams that students need to take are in form of 5 multiple choice questions. Some exams include essay or written style evaluation, however, most of the exams are close to short-answer questions due to fairness issues regarding evaluation. Such evaluation method will make it difficult to assess whether students are soundly reading the fictional novel, interpreting its significance, and making their own opinions or impressions. As such, it will be difficult to state that the calculated exam results which pass through the aforementioned exam form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literary skills.
    In order to become a class which promotes students to read fictional novels and interpret the significance on their own, a class which enhances the student’s ability to reconstitute its meaning and provide criticism,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extbooks should be appropriately and desirably constructed. Furthermore, efforts in converting the basic stereotype of various exams will also be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교육현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