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무제(洪武帝)의 정왜(靖倭) 정책과 여명(麗明) 외교 (Emperor Hongwu's Jingwo Policy and Goryeo-Ming Diplomac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5.01
37P 미리보기
홍무제(洪武帝)의 정왜(靖倭) 정책과 여명(麗明) 외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51호 / 181 ~ 217페이지
    · 저자명 : 신윤철

    초록

    홍무2년(공민왕18, 1369), 고려와 명나라는 국교를 수립하였다. 그러나 홍무8년(우왕원년, 1375)에 명과 고려의 국교가 단절되었다. 이후 고려는 홍무16년(우왕9, 1383)까지 명나라에 지속적으로 국교 회복을 요청하였고, 이해 10월 홍무제는 고려 사신에게 국교 재개 조건으로 5년간의 세공을 제시하였고, 홍무18년 1월 고려가 5년간의 세공을 바치자 양국간의 국교가 회복된다. 홍무2년 왜구의 산동 침략을 접한 이래, 홍무제는 산동 등지에 해양 방어체계를 수립하는 동시에 일본에 사절을 파견하여 왜구 금압을 요구하는 등의 정왜(靖倭) 정책을 실시하였다. 홍무4년부터 홍무7년 사이에 명나라는 일본과 국교를 맺었고, 홍무8년에서 홍무12년 사이에는 왜구의 중국 침입이 다소 줄어들었다. 그러나 홍무13년에서 홍무14년 사이에는 왜구의 재침과 일본의 외교 의례 미준수 등으로 인해 명일 관계가 악화되었다. 홍무제는 한반도 해안을 통해 왜구가 중국을 침입한다고 인식하였고, 홍무2년부터 홍무7년까지 고려에 해양 방어체계 강화를 요구하였다. 따라서 대일 외교와 마찬가지로, 홍무제의 대고려 외교에도 왜구 문제가 포함되었다고 할 수 있다. 홍무18년(우왕11, 1385)에 명과 고려의 국교가 재개되었는데, 이 해 홍무제는 고려에게 고려 연해 도서 지역에 있는 왜구 정벌 의지를 표명하고, 이를 위한 해로 안내를 요청하였다. 또한 홍무제는 홍무19년에 일본과의 외교를 통한 정왜 정책을 완전히 폐기하고, 왜구를 막기 위한 해양 방어체계 강화에 주력하였는데, 홍무제는 고려 사신을 접견하면서 또다시 해방 체계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였다. 즉, 여명 관계에 있어서 왜구 문제는 양국 외교에 있어서 주요 현안 중 하나였으며, 홍무제에게 있어서 대고려 외교 목적에는 정왜 정책 또한 포함되어 있었다.

    영어초록

    In 1369,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Goryeo and Ming. However, in 1375, these relations were severed. Subsequently, Goryeo persistently requested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ties with Ming until 1383 (9th year of King U’s reign, 16th year of the Hongwu era). In October of the same year, Emperor Hongwu proposed the condition of a five-year tribute period to the Goryeo envoys as a prerequisite for re-establishing relations. When Goryeo complied with this condition in January 1385, diplomatic relations were restored.
    Since the Shandong invasion by Japanese pirates (wokou, 倭寇) in 1369, Emperor Hongwu implemented policies to suppress the pirates, known as the jingwo policy (靖倭政策), which included establishing maritime defense systems in regions such as Shandong and dispatching envoys to Japan to demand the suppression of pirate activities. Ming established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between 1371 and 1374, resulting in a temporary decline in pirate incursions from 1375 to 1379. However, between 1380 and 1383, the resurgence of pirate attacks and Japan’s breach of diplomatic protocols led to a deterioration in Sino-Japanese relations.
    Emperor Hongwu believed that Japanese pirates were using the Korean Peninsula’s coasts as a route to invade China, and thus demanded that Goryeo strengthen its maritime defenses from 1369 to 1374. Consequently, issues related to Japanese pirates became a significant aspect of Ming’s diplomatic relations with Goryeo, paralleling its policy toward Japan.
    In 1385, when Ming and Goryeo resumed their diplomatic relations, Emperor Hongwu directed efforts to suppress Japanese pirates in the coastal and island regions of Goryeo and instructed Goryeo to provide guidance for maritime routes. In 1386, Emperor Hongwu abandoned the policy of engaging with Japan through diplomacy to suppress pirates, instead focusing on strengthening Ming’s maritime defense system. In March of the 1387, during an audience with Goryeo envoys, Emperor Hongwu reiterated his demand for enhanced maritime defense.
    Overall, the issue of Japanese pirates was a central concern in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Ming and Goryeo. For Emperor Hongwu, diplomacy with Goryeo included addressing the problem of Japanese piracy as part of his broader jingwo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