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向神話の「韓国」 -『三国遺事』に描かれた「倭」と比較して― 日向神話の「韓国」―<三国遺事>に描かれた「倭」と比較して- (“Karakuni” in Hyuuga myth―As compared to Wa” in ” Samguk Yus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5.10
28P 미리보기
日向神話の「韓国」 -『三国遺事』に描かれた「倭」と比較して― 日向神話の「韓国」―&lt;三国遺事&gt;に描かれた「倭」と比較して-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47호 / 47 ~ 74페이지
    · 저자명 : 堂野前 彰子

    초록

    한국의 서책에는 때때로 「왜(倭)」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첫 부분에는 시조의 탄생 다음으로 왜인들의 습격이 언급되고 있는데, 신라에 있어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 후로도왜인들은 반복적으로 선단을 꾸려 신라 연안까지 침공하였으며 「왜」는 항상 적대적인 인접국으로 묘사되어 왔다. 또 혁거세가 마한에 파견한 호공(瓠公)은 그 출신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본래 왜인으로 박[瓠]을 허리에 차고 바다를 건너 온 까닭에 ‘호공’이라고 칭하였다고 하며, 4대 탈해왕은 왜를 기점으로 위치가 표기된「다파나국(多婆那國)」(「용성국(龍城國)」)에서 배를 타고 왔다고 되어 있는 등신라의 시조 전승에는 「왜」가 깊이 자취를 남기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도 『신센쇼지로쿠(新撰姓氏録)』에 이나히노미코토(稲飯命)가신라의 시조라고 되어 있는데 이러한 계보 이야기는 신라 왕가와 일본 덴노가 사이의 관계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리라. 『고사기(古事記)』와『일본서기(日本書 紀)』에 「신라」가 언급되는 부분도 많으며, 『일본서기』의 신대(神代) 부분에는(신라가) 천상계에서 추방된 스사노오가 처음으로 강림한 곳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혹은 진구(神功) 황후가 신라 정벌에서 돌아온 직후 오진(応神) 덴노가 태어난 점을 미루어본다면, 일본에 있어 신라를 향한다는 것은 마치 모태회귀와도 같은 의미가 있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이렇듯 한국의 서책에 묘사된 「왜」와 일본의『고사기』·『일본서기』에 기록된 「신라」는, 같은 동전의 앞면과 뒷면과도 같은 관계인 것 같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고사기』·『일본서기』에 나타난 「한국(韓國)」의 용례를 자세히 살펴보면, 서쪽 바다로부터 상륙해 동쪽을 지향하는 왕권이 물결을 따르는 것처럼 「신라」를 향한다는 것이, 행간에 숨겨진 의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이『고사기』에 나타나는 유일한 「韓國」의 예, 휴가(日向) 신화의 천손강림 대목에그려진 심상풍경이기도 하며, 휴가신화에 나타나는 이중 구조 즉 아타(阿多, 사쓰마 남부)를 무대로 한 하야토(隼人)의 신화와 대마도를 무대로 한 가이진(海人) 의 신화를 연결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신화 형성을 가능하게 한 것은, 규슈남부와 북부 사이에서 이루어졌던 사람들의 교류와 이주였으며, 거기에는 동해(일본해)를 중심으로 한 신라계 도래인의 네트워크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 나타나는 왜의 용례를 살펴보면 『고사기』·『일본서기』와 동일한 모티브가 다수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유사성의 이면에 존재하는 것도 또한 사람들의 상호 교류이며, 태양 감생(태양빛으로 잉태하는) 신화나 우츠로부네(ウツロ舟) 전승도 시야에 넣고 한국과 일본의전승을 비교해본다면, 동중국해를 포괄하는 것으로 보이는 海人들의 네트워크를찾아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바다를 중심으로 한 교류‧교역망이야말로고대인들이 생각했던 세계의 모습이었다.

    영어초록

    The word of “WA” is often described in the Korean books. For example, it is said that the fourth king of Silla has come on a ship from “Tabana-koku”, which is “Tajima” in Japan. The Silla’s dynasty seemed to be connected with Japan.
    On the other hand, in Japan, it is handed down that Inahi-no-mikoto (son of the Emperor Jinmu) was a founder of Silla. It could be that the relationship of Silla and Japan is equal to two sides of the same coin.x Therefore, checking the example of word “Wa” in the Korean books (“Samguk Yusa” and “Samguk Sagi”) and “Karakuni” in the Japanese books (“Kojiki” and “Nihonshoki”), the Korean books have many motifs same as the Japanese books. Why have they the same motifs? It could be that there wer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aking notice the resemblance of motifs and tracing the distribution of legends of “Utubo-ship”, there were the net-work of “Ama” (fisher) surrounding the East China Sea. It would be the world of ancient peopl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