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스겔의 『엑사고게』와 아이스퀼로스의 『페르시아인들』의 비교연구: 『엑사고게』에 나타난 ‘모세의 꿈’ 장면과 『페르시아인들』에 나타난 ‘다레이오스 왕의 망령’ 장면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zekiel’s Exagoge with Aeschylus’ Persae: The Ghost of King Darius as a counterpart to Moses in the Dream Scen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09.03
22P 미리보기
에스겔의 『엑사고게』와 아이스퀼로스의 『페르시아인들』의 비교연구: 『엑사고게』에 나타난 ‘모세의 꿈’ 장면과 『페르시아인들』에 나타난 ‘다레이오스 왕의 망령’ 장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35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이두희

    초록

    『엑사고게』에 나오는 이야기의 대부분은 70인 역 희랍어 성서에 기초하고 있는데, 모세의 꿈 장면은 거기에서 그 원형을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특이성은 학자들로 하여금 에스겔이 모세의 꿈 장면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친 문학적 배경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게 하였다.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네 가지의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할러데이는 꿈 장면에 나오는 모세는 희랍의 예언자 신 아폴론과 경쟁 관계에 있는 히브리 예언자로 묘사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의 핵심은 꿈 장면에 나오는 보좌는 왕의 보좌가 아니라, 희랍의 예언 전통에 잇대어 있는 예언자의 보좌에 비교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 더 홀스트는 모세의 꿈 장면은 후대에 유대의 메르카바(보좌)-문학에서 완전하게 발전된 메르카바(보좌)-비전의 초기 증거라고 주장한다. 제이콥슨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에스겔의 『엑사고게』에서 발견되는 공통된 단어와 이미지들에 기초해서, 모세의 꿈 비전에 헤로도토스의 영향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전의 연구들과는 달리, 그루언은 모세의 꿈 비전에 영향을 미친 문학적 기원을 추적하기보다는 예언자와 왕이라는 모세의 새로운 이미지를 고안해 낸 에스겔의 ‘독창성’을 강조한다. 그루언은 이러한 이미지의 창안이 헬레니즘 시대 유대인들의 자신감과 자부심을 고양시키는데 기여했다고 본다. 다른 설명들은 하나의 이미지를 희생시키고 다른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반해, 그루언의 제안만이 두 이미지 모두를 정당하게 평가하는 설명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필자는 왕과 예언자의 두 이미지 중 어느 것도 희생시킴이 없이 『엑사고게』의 꿈 장면에 나오는 모세의 두 이미지를 모두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문학적 모델이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아이스퀼로스의 『페르시아인들』에 나오는 다레이오스 왕의 망령이 『엑사고게』의 꿈 장면에 나오는 모세의 이미지의 대응 짝을 이루고 있음을 텍스트에 근거하여 보여 줄 것이다.

    영어초록

    While most of the story of Exagoge is based on the Septuagint, Moses’ dream scene has no prototype there. This oddity has stimulated scholars’ curiosity as to the backdrop of Ezekiel’s formulation of Moses’ dream scene. Recent studies on the dream scene suggest four options. Holladay argues that Moses in this scene is portrayed as a Hebrew prophet in competition with the Greek mantic god Apollo. His point is that the throne in the dream scene is not the royal throne but the mantic/prophetic throne, which can be compared to Apollo’s mantic throne along the Greek mantic tradition. Van der Horst argues that Moses’ dream vision is the earliest evidence of merkavah-vision that develops more fully later in the Jewish merkavah-literature. Jacobson suggests Herodotean impacts on Ezekiel’s composition of Moses’ dream scene, based on some common languages and images found in both Herodotus’ Histories and Ezekiel’s Exagoge. Unlike previous studies, Gruen does not try to seek its origin, but rather emphasizes its “novelty”which creates a new image of Moses as a prophet and a king fitting to enhance the confidence and pride of the Hellenistic Jews. It seems to me that Gruen’s explanation is the only one which gives due evaluation for both images (king and prophet) that are evident in Moses’dream scene, whereas other explanations are inclined to highlight one image at the expense of the other. However, I still have some suspicion that there may be a significant particular backdrop against which Ezekiel formulates Moses’ image as a prophet and king. I argue that the ghost of king Darius in Aeschylus’ Persae may be a counterpart to Moses in the dream scene of Exago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