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적 환상성과 그 매체변환의 양상Ⅰ - E.T.A.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인형과 생쥐왕"을 중심으로 (Das Fantastische der Literatur und die Verhältnisse seines Medienwechsels –anhand der Analyse von E.T.A. Hoffmanns Erzählung Der Nußknacker und Mauseköni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8.11
29P 미리보기
문학적 환상성과 그 매체변환의 양상Ⅰ - E.T.A.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인형과 생쥐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현대문학 / 51호 / 79 ~ 107페이지
    · 저자명 : 송민정

    초록

    본 연구는 호프만의 동화 『호두까기인형과 생쥐왕』의 매체변환에 대한 양상을 공감각 개념을 통해 분석하고 문학의 환상성의 상호매체적 잠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매체 시대 속에서 언어와 서사를 넘어서는 체험으로서 공감각 개념은 초기 낭만주의자 미학으로부터 출발하여 오늘날 신경생리학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 부상하였다. 이에 따라 공감각은 특수한 뇌의 유전적 오류로서 생겨나는 현상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인에게서도 발견되는 “교차양상 공감각 추상화” 기능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E.T.A. 호프만의 『호두까기인형과 생쥐왕』의 다양한 매체변환 양상에서 공감각을 공통분모로 환상성을 구현하고 있다는 것을 발레 <호두까기인형>와 원작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발레 <호두까기인형>은 다른 매체변환 양상에 있어서도 호프만의 원작에 준하는, 각색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두 작품의 비교는 향후 매체변환 양상을 이해하는데 전제되는 선행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in E.T.A. Hoffmanns Kunstmärchen am Beispiel der Erzählung Nußknacker und Mäusekönig das Synästhetische als gleichwertig mit dem Fantastischen zu postulieren und die Verhältnisse seiner Transformation anhand des erneut angewandten Konzepts der Synästhesie zu untersuchen, da nach Vorstellung der Frühromantiker diese zu einer Kontemplation führt, die den Menschen seine Einheit mit der Natur sowie sein inneres Wesen erkennen lässt. Neuere Untersuchungsansätze spiegeln sich vor allem in Begriffen wie Hyper-binding und Cross-modal-Wahrnehmung hinsichtlich kognitionsbiologi -scher Grundlagen der Synästhesie wider. Werden in einem ersten Schritt die Merkmale des Fantastischen der Erzählung in ihrer synästhetischen Wirkung aufgezeigt, so werden diese anschließend mit der des Balletts Der Nußknacker verglichen – dieses besitzt gegenüber der literarischen Form Höreindrücke, eine visuelle szenische Gestaltung, nebst einer choreografischen Umsetzung. Jeder Medienwechsel, z.B. vom Buch zur Inszenierung–führt dabei zu unterschiedlichen synästhetischen Ausprägungen. Im 21. Jahrhundert hat sich die Medienwissenschaft des Komplexes Sinn-Medium-Wahrnehmung unter dem Begriff der „Medien -synästhetik“ angenommen. Vor allem können die gegenwärtigen digitalen filmischen Medien dabei zu einer völlig neuen Ausformung von ‘Präsensgefühl’ bei Konsumenten anhand von Synästhesie führen, die originär noch zu einer literarischer Imagination gezählt werden kann, ebenso wie das Fantastische des Ballets auf der literarischen synäthestischen Inszenierung basie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현대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