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 수지 비괘(水地比卦 ䷇)와 맹자 왕도 정치론의 관련성 연구 -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 Hexagram(比卦) of Changes and Royal Politics of Virtue of Menciu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9
32P 미리보기
『주역』 수지 비괘(水地比卦 ䷇)와 맹자 왕도 정치론의 관련성 연구 -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9호 / 129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진영

    초록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는 『주역』 수지 비괘(水地比卦 ䷇)와 맹자 왕도 정치론의 관련성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여 수지 비괘에 제시된 괘사와 효사의 의미와 역할을 맹자 왕도 정치론에 나타난 왕-신하-백성의 관계와 비교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수지 비괘는 위로 물을 뜻하는 감괘(坎卦)와 아래로 땅을 뜻하는 곤괘(坤卦)가 합쳐서 이루어진 괘로 땅과 물의 밀접함을 기반으로 ‘친함’을 상징한다. 땅과 물은 떨어질 수 없이 밀접하므로 이는 정치적으로 왕과 백성의 친한 관계로 전환될 수 있다. 비괘의 「단전」, 「대상전」, 「소상전」은 왕-신하-백성이라는 세 정치 주체의 입장에서 비괘에 함축된 덕치(德治)의 관점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유가 사상의 정통성을 형성한 맹자의 왕도 정치론과 연결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이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수지 비괘와 왕도 정치론을 연결하는 구체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괘에는 왕도정치의 전제로서 왕이 먼저 백성을 가까이하고 돕는 친보(親輔)의 원리가 나타난다. 친보는 왕이 먼저 백성을 가까이하고 돕는 자세를 중요한 전제로 삼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왕이 자신의 불인인지심을 확충하여 백성에게 시행하는 불인인지정의 정치적 행위와 연결된다. 둘째 비괘에는 왕도정치의 공효로서 백성이 자발적으로 왕에게 순종하고 호응하는 순응(順應)의 원리가 나타난다. 이는 백성의 호응에서 친보의 공효가 이루어짐을 의미하므로, 맹자는 왕이 먼저 백성을 친하게 돕는 정치를 베풀 때 백성이 왕에게 순종하고 귀의하는 상황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과 연결된다. 셋째 비괘의 구오(九五)에는 왕이 삼구법(三驅法)을 써서 거스르는 사람을 버리고 따르는 사람을 취하는 사역취순(舍逆取順)의 현비(顯比) 정치가 나타난다. 이는 왕이 백성을 가까이하고 돕는 행위가 불인인지정이라는 구체적인 덕치의 관점으로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과 연결된다. 넷째 비괘의 육이(六二)와 육사(六四)에는 왕도정치의 내용으로서 존현사능(尊賢使能)의 군신 관계 원리가 나타난다. 왕도정치의 전개와 내용은 친친(親親)과 존현(尊賢)의 두 축이 중심이 되며 친친은 인을 실현하고 존현은 의를 실현하는 단서이자 내용이 된다. 존현사능은 백성에게 은택이 돌아가는 실질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는 왕도정치의 중요한 기반이다.

    영어초록

    The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intensive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i Hexagram(水地比卦 ䷇) of Changes(周易) and the principles of Royal Politics of Virtue(王道政治) of Mencius. Since the perspective of Politics by Virtue(德治) is clearly shown in Dan-jeon(彖傳), Daesang-jeon(大象傳), and Sosang-jeon(小象傳) in Bi Hexagram of Changes, it seems that there is a lot of theoretical relevance that can b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of Mencius who formed the orthodox successor of Confucianism. As a specific point of view and meaning that connects Bi Hexagram and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first, Bi Hexagram shows the principle of love & help(親輔), which the king loves and helps the people as a premise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This means that the king takes the attitude of loving and helping the people first as an important premise in Bi Hexagram. Second, Bi Hexagram shows the principle of obedience & response(順應), which the people voluntarily obey and respond to the king as a result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This means that the principle of love & help(親輔) is effective in obedience & response(順應) of the people. Third, Bi Hexagram shows the principle of brightly appeared(顯比) politics that reveals the king's selfless politics of fairness and generosity as the content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Fourth, Bi Hexagram shows the principle of the king and his subjects of Respecting the Wise & Appointing a man of ability(尊賢使能) as the content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This is an important foundation of the Royal Politics of Virtue that can achieve practical accomplishment that benefit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