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世紀 末 高句麗와 後燕의 關係- 396년 後燕의 廣開土王 冊封 問題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the Later Yan at the End of 4th Century -Based on the installation issue of King Gwanggaeto by the Later Yan in 396-)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12
32P 미리보기
4世紀 末 高句麗와 後燕의 關係- 396년 後燕의 廣開土王 冊封 問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8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성제

    초록

    이 글은 『梁書』 高句驪傳의 396년 후연이 고구려 광개토왕을 책봉한 기록이 양국이 冊封朝貢關係를 맺게 되었음을 의미한다고 이해하고 그 배경과 새로운 관계의 내용에 대해 살핀 것이다.
    당시 후연은 北魏와의 대결에서 守勢에 몰리고 있었기에, 이때의 책봉은 북위의 공세에 대비한 대책의 일환이었다. 후연은 책봉을 내세운 對高句麗外交로서 고구려와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의도로 보아 후연의 책봉에 대해 고구려가 화답하지 않는다면 양국 관계의 개선은 무망하였다. 따라서 이 기사는 양국이 책봉조공관계를 맺게 되었다는 중요한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양국 관계의 개선이 소망스럽기는 고구려도 매 한가지였다. 남방의 百濟를 상대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었기에 후연과의 적대적 관계가 계속된다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후연의 책봉에 후속하여 광개토왕이 幕僚를 두었다는 것은 후연의 책봉이 그 전제가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광개토왕은 후연의 책봉을 수용하였던 것이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후연의 광개토왕 책봉은 고구려가 遼東을 차지하고 있다는 현실을 후연이 인정하는 조치라고 여겨왔다. 그러나 『양서』의 책봉 기록은 후연이 수여한 책봉 내용을 모두 전하는 것이 아니라 前 왕조인 前燕이 수여한 책봉을 전제로 바뀐 내용을 전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책봉의 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후연이 고구려의 요동 영유를 인정하였다면 당연히 들어가 있어야 하는 遼河 以東의 지역 즉 ‘平州’의 관할권이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의 요동 영유는 후연이 요동과 玄菟 2郡을 고구려에 상실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이들 지역에서 고구려가 후연을 몰아냈다거나 후연의 전력이 약해졌음을 보여주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도리어 平郭과 요동을 거점으로 군사력을 강화한 후연의 東方政策은 후연이 붕괴하던 시점까지 유지되었음을 살필 수 있다. 따라서 당시 요동 지역은 양국이 分點하고 있었고, 양국의 책봉조공관계는 이러한 현실을 그대로 인정하는 조치였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동 지역의 분점 상황을 드러내고 있는 사료가 바로 <廣開土王陵碑> 永樂 5年條라고 본다. 광개토왕이 巡行한 경로 상에 마땅히 지나쳐야 했을 평곽과 요동이 보이질 않기 때문이다.
    그 결과 광개토왕은 후연과의 관계가 개선된 뒤, 백제 공략에 나서서 커다란 전과를 거두었다. 고구려가 396년 후연과의 관계에서 이룬 책봉조공관계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intended to understand that the Book of Liang (梁書 Liang Shu)'s record for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of Koguryo by the Later Yan in 396 indicates the installation and tribute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nd examine its background and the details in this new relationship.
    At that time, the Later Yan was put in a defensive corner by the Northern Wei, so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was one of preventive measures for the Northern Wei's attacks. The Later Yan intend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Koguryo through the diplomatic means toward Koguryo. Seeing the Late Yan's intention, if Koguryo had not been responding to the Later Yan's diplom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ould have not been improved at all. Therefore, this record indicates an important fact that these two countries entered into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On the other hand, Koguryo also want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 Late Yan. Since Koguryo needed to gather all its powers to deal with Baekje of the south, it was difficult for Koguryo to maintain hostile relationship with the Later Yan. With regard to this, King Gwanggaeto had staff officers based on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by the Later Yan. That is, King Gwanggaeto accepted the installation by the Later Yan.
    In previous studies, the installation of King Gwanggaeto by the Later Yan is considered as the Later Yan's measure which admitted the fact that Koguryo possessed the Liaodong Peninsula. But, the installation record in the Book of Liang does not deliver the whole details of the Later Yan's installation but the modified contents based on the installation granted by the Former Yan which was the previous dynasty. The analysis result of changes in the installation shows that the dominion over Liao River area which is "Pingzhou(平州)" where it would have been incomplete if the Later Yan would accept the Koguryo's Liaodong Peninsula possession.
    And also, Koguryo's Liaodong Peninsula possession means that the Later Yan lost Liaodong Peninsula and Xuantu(玄菟) Commandery to Koguryo. However, there is no record showing that Koguryo drove out the Later Yan from these areas or the Later Yan's power weakened. Instead, the policy toward the east of the Later Yan that reinforced its military power based on Pingguo(平郭) and the Liaodong Peninsula maintained up to the point of the Later Yan's collapse. Therefore, the Liaodong Peninsula was jointly possessed by both countries, and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between these two countries was the measure which admitted this fact as it was. And, the historical material that shows the shared possession circumstance of this Liaodong Peninsula is Article of Yongnak year 5(永樂 5年條) engraved on the King Gwanggaeto Stele(廣開土王陵碑). It's because the path of King Gwanggaeto's royal tour doesn't show Pingguo(平郭) and the Liaodong Peninsula where he would have passed.
    As a result,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and achieved significant wartime accomplishments after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Later Yan. This was why Koguryo entered into the relationship of installation and tribute with the Later Yan in 39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