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王守仁과 曺植의 知行合一의 실천적 성격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06
41P 미리보기
王守仁과 曺植의 知行合一의 실천적 성격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6호 / 31 ~ 71페이지
    · 저자명 : 박종도

    초록

    본고는 양명 왕수인(陽明 王守仁, 1472~1528)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의 지행합일의 실천적 성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왕수인과 조식이 ‘省察克治’라는 개념의 수양법을 사용하는 데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省察克治’는 자신을 엄격히 다스려 良心을 보존하고 사사로운 욕심을 물리치는 수양법을 의미한다. 실제로 우리 마음속에는 양심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욕망과 사심이 용솟음치면서 양심의 활동을 훼방하고 있다.
    왕수인의 省察克治는 良知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고, 조식의 省察克治는 人欲을 물리치고, 天理를 보존하는 방법으로 제기된 실천적 수양법이었다. 즉, 왕수인은 본래 가지고 있는 心의 본체인 良知를 외부로 실현하는 과정에서 성찰극치라는 방법을 통해 致良知를 이루고자 했으며, 조식은 遏人欲存天理를 위한 내면의 敬공부에서 비롯하여 성찰극치 하여 敬을 지극히 한 후 義로써 知行合一하는 敬義 공부 방법을 제시하였다. 兩者는 儒學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省察克治를 제시하여 성리학과 양명학의 접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들의 공부는 실천적이면서도 실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고 있다. 왕수인과 조식이 陽明學과 性理學이라는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공통점을 드러내는 점은 인문정신의 실천적 함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안일에 흐르려고 하거나 惡에 빠지려고 하는 요소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뿌리째 뽑아내어 제거하려는 ‘성찰극치’에 있어 상호 비교할 만한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between Wang, Soo-In(陽明 王守仁, 1472~1528) and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Firstly, this paper shows a common elements in a discipline way of the concept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The extreme reflection means that the discipline way that controls oneself strictly to preserve conscience and resist private greed. The various and individual desires can be inclined to break the operation of the conscience.
    The extreme reflection of Wang, Soo-In was a way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and the extreme reflection of Jo, Sik was a way of defeating the greed and preserving the divine principle. Wang, Soo-In attempted to achieve the extreme knowledge of conscience through the method of the extrem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knowledge of conscience, the main structure of mind. Jo, Sik suggested a method of studying 'the loyalty of reverence'. The loyalty of reverenc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can be achieved by the reverence through the extreme reflection from reverence by training into mindfor 'the control human greed and seeking of divine principles'.
    Both of Wang, Soo-In and Jo, Sik had suggested the extreme reflection as a wa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onfucianism. And it shows the common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Yang Myung-knowledge. In addition, their studies of both can lead to a practical and existential direction. Although Wang, Soo-In and Jo, Sik have different backgrounds of study such as the Yang Myung-knowledg and Neo-Confucianism, they have commonalities of the extreme reflection. These commonalities not on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human mind, but also inspect and find out and remove the elements that are about to flow into the evil. They were worth comparing as the value of humanities in the meaning of the extreme reflection between Wang, Soo-In and Jo, Sik in their though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