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왕의 염습의대(斂襲衣襨)에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roud of the King in the Joseon Dynast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조선시대 왕의 염습의대(斂襲衣襨)에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수록지 정보 : 한국복식 / 42호 / 27 ~ 48페이지
    · 저자명 : 정말숙

    초록

    인간은 탄생과 함께 복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한 사회구성원으로써 착용하게 되는 복식은 신체보호 차원을 넘어 착용자의 신분・윤리・문화 등을 표현하는 척도가 된다.
    조선왕조는 엄격한 신분사회로 복식은 그 자체로도 신분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유교사상을 치국의 이념으로 표방한 조선시대에는 최고의 신분인 왕에게 있어 사후 복식인 염습의대는왕실의 권위와 대행왕에 대한 최후의 예장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조선왕실에서는 사・서인과는 차별화 된 오례를 정하여 전반적인 왕실의례는 이를 기준으로 시행하였으며 이 중 흉례(凶禮)는 상례와 관련된 의식으로 『세종오례의(世宗五禮儀)』에 처음 제정되어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완성되었으며 국말까지 이를 준용하였다.
    왕의 염습의대에 관한 기록은 흉례절차 중 염습절차에 나타나 있으며, 의대란 복식을 뜻하는 왕실용어이며, ‘염습의대(斂襲衣襨)’란 시신에 입혀지는 옷으로, 현행 수의를 말하는 것이다.
    조선 전반기의 『국조오례의』에 규정된 왕의 염습의대는 조선 후반기까지 변함없이 준용되었으며,상복(上服)으로는 습(襲)시 곤룡포, 소렴(小斂)시 강사포, 대렴(大斂)시 면복의 사용을 철저하게 지켰으나, 말기 고종 대렴의대는 상복으로 면복의 기록은 없고 황룡포의 기록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기의단령・답호・철릭이 단령・답호・중치막으로 변화하였으며, 소렴・대렴시 산의(散衣)로는 각종 편복포류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왕은 염습의대의 상복을 사・서인이 사용할 수 없었던 곤룡포・강사포・면복을 사용함으로써 국왕이라는 최고의 신분에 부합되게 사후에도 권위와 위엄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humans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costumes since they emerged, thecostumes worn by members in society played a role in showing statuses, ethnics, andcultures, as a criterion, as well as in protecting bodie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had rigidly hierarchical structures, costumes themselveswere identified with the positions in society. As the ruling principle of the dynasty wasbased on Confucianism, the king as the supreme status wore Yomseup-uidae (斂襲衣襨)as a final formal dress representing the supreme authority and respects to the next king.
    The Jos대n dynasty set up the royal rule of Olye,(五禮) different from the rule for ‘daebu・saseu-in.’(大夫・士庶人) The dynasty followed this rule in a general royal ceremony.
    Hyunglye,(凶禮) which belonged to olye, was set up for funeral ceremonies and was firstrecorded in 『Sejong-olye-ui』(世宗五禮儀). After published in 『Sejong-olye-ui』 hyunglyewas finalized in 『Gukjo-olye-ui』(國朝五禮儀) and was observed until the end of theJoseon dynasty.
    Yomseup-uidae was used in the procedure of king’s funeral, hyunglye. Uidae (衣襨)means the formal dress worn by royal family, and Yomseup-uidae is referred to as ashroud, clothes for the dead body, which were buried with the corpse.
    Considering all of these recording, Yomseup-uidae for the kings recorded in『Gukjo-olye-ui』 was observed until the end of the Josun dynasty, and the rules forSangbok (上服)-clothes at the top- was observed strictly as follows:golyongpo at thetime for Seup,(襲) gangsapo at the time for Soryom,(小斂) and myonbok at the time forDaeryom (大斂). However, at the end of the dynasty, some rules were changed in therecord. For example, sangbok in the period of King Gojong was recorded aswhangrongpo, not as myonbok. Moreover, one set of dan-lyung, dapho, and cheolik in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was changed into one set of dan-lyung, dapho,jungcheemak. Also, san-ui at the time of Soryom and Daeryom was changed into avariety of pyonbok (便服).
    Consequently, Yomseup-uidae for the kings of Joseon includes golyongpo, gansapo,and myongbok as the top coats, which daebu or saseo-in could not wear as theirclothes. Such royal top coats represent supreme authorities and dignities even after thekings’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복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