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원성왕대의 재이와 정치・사회적 변동 (Natural Disasters and Political, Social Fluctuations during the Period of King Wonseong in Sill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2.08
37P 미리보기
신라 원성왕대의 재이와 정치・사회적 변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5호 / 279 ~ 315페이지
    · 저자명 : 이기봉

    초록

    이 글에서는 신라 하대 정권이 성립된 원성왕대의 정치와 사회적 변동을 재이와 연결시켜 검토하였다.
    원성왕대에는 재이 중에서 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았다. 이는 이 시기에 발생한 27회의 재이 중에서 22회가 재해였던 것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때 발생한 재해로는 旱災, 地震, 蝗害, 霜害, 雹害, 雪害, 大風, 大水가 있었다. 이러한 재해는 왕경을 비롯해서, 지방인 國東, 國西, 漢山州와 熊川州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원성왕대 연이은 재해의 발생은 사회적 문제로 나타났다. 원성왕 4년 국서지역에 도적이 발생한 것이다. 이때의 도적 발생은 계속된 기근과 王京중심의 대응에 대한 지방민의 불만이 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원성왕 4년의 도적발생은 신라 하대사의 전개에 있어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원성왕대 기근으로 처음 도적이 발생한 이후 헌덕왕과 흥덕왕대에도 이러한 양상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원성왕 7년에 일어난 悌恭의 모반 역시 재해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제공은 계속된 재해로 인한 사회적 불안을 틈타 원성왕의 정국운영 변화에 대해 반발한 것이다. 원성왕은 제공의 모반을 제압한 뒤에는 자신의 직계를 중심으로 한 권력집중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원성왕대의 재이는 당시 정치・사회적 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examines the politics and social fluctuations in the ruling years of king Wonseong, during which the political power of the Late Silla(from 780A.D~935A.D.) was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natural disasters.
    The ruling period of king Wonseong witnessed a high incidence of disasters.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re occurred 22 natural disasters out of the 27 extraordinary phenomena happening during this period. The natural disasters occurring at that time included drought damage, earthquake, locust disaster, frost injury, hailstone damage, typhoon, and floods.
    Such disasters occurred in various local districts, such as Gukdong, Gukseo, Hansanju, and Woongcheonju including the Royal Capital.
    A train of disaster occurrences during the period of king Wonseong presented a social issue. A band of thieves appeared in Gukseo district in the 4th ruling year of king Wonseong. The occurrence of thieves at that time was attributable to local residents' complaints about continuous famine and royal capital-centered countermeasures against it.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ieves in the 4th ruling year of king Wonseong had not a few meanings in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the Late Silla. It's because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thieves due to the famine during the period of king Wonseong, such an aspect had continuously appeared even during the period of king Heondeok, and king Heungdeok.
    The rebellion of Jegong, which arose in the 7th ruling year of king Wonseong, also took place with the social unrest from disasters in its background.
    Jegong revolted against king Wonseong's change in operating the political situ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social unrest incurred by continuous disasters.
    King Wonseong was able to promote the centralization of power in earnest with his direct line of descent as the center after gaining control over Jegong's insurrection.
    Like this, the extraordinary phenomena during the period of king Wonseong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n political, social fluctu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