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百濟 武王의 太子 冊封과 王權의 變動 (Installation of Crown Prince and Fluctuation of Regal Power of King Mu of Baekj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1.08
25P 미리보기
百濟 武王의 太子 冊封과 王權의 變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54호 / 145 ~ 169페이지
    · 저자명 : 강종원

    초록

    본고에서는 무왕 말기의 정국변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무왕 31년 갑작스러운 사비환궁의 문제, 무왕 33년에 의자가 태자에 책봉되는 정치적 배경, 그리고 무왕 말기의 정치적 상황과 왕권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왕은 익산경영과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통해 왕권강화에 성공한 왕으로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무왕의 갑작스런 사비환궁, 그리고 사비환궁 이후의 태자책봉, 무왕 말기에 나타난 국정상황 등을 통해 볼 때 기존의 견해와는 다른 정치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즉, 무왕의 사비환궁은 익산세력의 약화와 사비지역을 정치적 기반으로 한 사씨세력의 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씨의 등장 배경에는 대신라 및 고구려 방비, 그리고 익산경영에 따른 군사적ㆍ경제적 필요성으로 인해 무왕이 大姓貴族 가운데 가장 세력이 컸던 사씨와의 정치적 타협의 결과로 이해된다. 또한 사비로 환궁한 이후 의자의 태자 책봉도 당시의 정국변동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었는데, 이는 사씨의 정략적 지지에 의한 결과였다. 즉, 사비로의 還宮과 익산세력의 축출, 그리고 사씨 출신 太子妃의 納妃를 전제로 이루어진 지지였다고 하겠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사씨세력과 익산세력과의 정치적 力學關係에서 사씨가 승리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무왕 말기의 정국상황은 태자에 책봉된 의자가 대신라전 등 국정의 상당부분을 위임받아 권한을 행사하였으며, 무왕은 上王(大王)으로 현실정치에서 물러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무왕은 638년 3월 이후에서 639년 정월 이전에익산 왕궁성으로 다시 行幸하여 그곳에서 사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왕 夫妻의 능으로 비정되는 익산 쌍릉의 존재, <觀世音應驗記>의 枳慕密地 천도 및 제석정사의 중건내용, 미륵사지 서탑의 舍利奉安 儀式, 그리고 왕의 ‘東西兩城’ 거주에 대한 기록 등은 그러한 사실을 實證的으로 보여주는 자료들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is piece of writing, I have examined comprehensively, by reviewing political situation change during the end period of king Mu’s reign, the sudden return to the palace in Sabee in the 31st year of king Mu’s reign, the political background for the stepson to be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in the 33rd year of king Mu’s reign,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fluctuation of regal power in the end of king Mu’s reign.
    King Mu is generally judged to have succeeded in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through Iksan administration and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in large scale. However, different political significance from the established point of view can be found when one considers the sudden return to the Sabee palace by king Mu,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after the return to the Sabee palace, and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end period of king Mu’s reign. That is, the return to the Sabee palace by king Mu is understood as signifying the weakening of Iksan power and the rise of Sa family’s power with the political basis of Sabee region. The background for the appearance of Sa family is understood to be the result of king Mu’s political compromise with the Sa family whose power was the strongest among the nobility with noted family names under the circumstance of needing additional military and financial aid for the defence against Silla and Koguryeo as well as for Iksan administration. Moreover, the installation of the stepson as the crown prince after the return to the Sabee pal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which is the result of political support by Sa family. In short, it can be said to be the support based upon the return to the Sabee palace, the expulsion of Iksan power, and offering of crown prince’s wife from Sa family. In addition, it means the victory of Sa family in the political dynamics of Sa family power and Iksan power as the fnial outcome.
    Furthermore, when one looks 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end period of king Mu’s reign, the stepson who had been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exercised the authority by being entrusted with most of state affairs such as the war against Silla, and king Mu is assumed to have stepped down from the realistic politics as the ex-king. Besides, king Mu is assumed to have died at the Iksan palace castle after he had moved back there at some point between March, 638 and January, 639. The existence of Iksan royal couple tombs that have been reviewed and corrected as king Mu’s couple tomb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Jimomilji and reconstruction of Jeseokjeongsa temple that appeared in An Account of the Goddess of Mercy’s Omen(觀世音應驗記), enshrinement ceremony for small crystals found in cremated remains of monks in Mireuksaji stone pagoda, and the record of the king’s stay in ‘both east and west castles’ are all the data that demonstrate that fact posi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