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하대 경문왕대 불교조각의 재조명 (A Study on the Buddhist Sculpture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Late Sill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3.06
26P 미리보기
신라 하대 경문왕대 불교조각의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8권 / 278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임영애

    초록

    경문왕 재위 15년 동안 정확한 제작시기가 밝혀진 불상만 6구이다. 기년명 불상이 드문 신라 조각의 현실을 감안하면 이는 대단히 많은 수이다. 흥미롭게도 존명을 알 수 없는 안락사의 철조장육존상을 제외하고는 모두 비로자나불(노사나불)이다. 물론 이 중 3구는 현재 전하지 않아 그 면모를 파악할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6구 이외에도 경문왕, 헌안왕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비로자나불상만도 수십 여구에 이른다. 이처럼 경문왕대를 기점으로 비로자나불상이 급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글은 경문왕대에 불상, 특히 비로자나불상의 숫자가 급증하게 된 점에 주목한 것이다.
    지금까지 신라 하대의 불교미술은 중앙 정권의 약화, 지방 중심 호족들의 등장과 더불어 불교미술 역시 지방 호족들의 후원을 받으며 발전했다고 알려져 왔다. 그 결과 경주 중심의 불상 제작에서 벗어나 지역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불상 양식이 등장하였다고 보기도 하였다. 하지만 경문왕대 불교미술의 양상은 알려진 것과는 차이가 있다. 경문왕대 불교조각은 지방 호족보다는 왕실과 더 많은 관련이 있으며, 화엄종, 법상종, 선종 등 종파의 구분 없이 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고 봉안하였다. 또 분포양상도 경주를 포함하여 전국적이어서 경주를 제외한 지역에만 편중되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이처럼 경문왕대 불상, 특히 비로자나불상이 전국적으로 유행하게 된 배경에는 신라 하대 원성왕계 왕으로서의 그의 입지가 약했다는 점이 큰 역할을 하였다. 헌안왕의 사위로 왕위에 오른 그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강력한 왕권이었다. 특히 지방통치력의 강화를 위해서 그에게 필요한 것은 선사들의 힘이었다. 이런 이유로 그는 끊임없이 선승과의 교류를 시도했고, 선교의 구분을 두지 않고 불교를 후원하고 불교미술을 조성함으로써 왕실의 안정과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경문왕의 불교정책은 선종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고, 선종 사찰은 대집단화되었다. 당시 선종 사찰은 보통 수백 명, 많게는 수천 명의 선승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이 노동력의 원천이 되어 거대한 철불을 비롯한 각종 불교미술을 조성하는 일이 가능했던 것이다. 불교조각 중에서는 비로자나불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특히 비로자나불상은 그 어떤 불상보다도 경문왕 전제왕권의 메타포로 적합했기 때문이다. 물론 경문왕대 조성된 불상이 모두 왕실의 후원아래 조성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경문왕의 강력한 불교 후원이 있었기 때문에 이에 힘입어 전국적인 불교조각을 비롯한 각종 불교미술의 융성이 가능했다고 본다. 그의 의도가 어디에 있었던지 간에 경문왕은 신라 불교미술의 마지막 불꽃을 피운 왕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Silla produced six Buddhist statues during a period of fifteen years when it was under the rule of King Gyeongmun (r. 861-875). The number is quite significant considering that the kingdom's Buddhist statues carrying clear production dates are very rare. Interestingly, five of these are of Vairocana Buddha while the identity of the remaining one, an sixteen feet iron buddha enshrined in Allaksa Temple, is yet to be known.
    Unfortunately, three of the statues are not known of their whereabouts. Apart from them, there are currently several tens of Vairocana Buddha images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period when Silla was ruled by King Gyeongmun and his predecessor King Heonan (r. 857-86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unanswered question why Silla people of the period were so eagerly attracted to Vairocana Buddha image.
    The dominant view of the Buddhist art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has been that the emergence of powerful regional warlords of the period weakened the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grew into a new patron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t, helping it freed from the influence of the Silla capital Gyeongju and more focus on the diversity of regional traditions. The view, however, cannot explain the fact that the Buddhist artists of Silla under the King Gyeongmun's rule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the royal family than regional warlords and interested in worshipping Vairocana Buddha image regardless of the schools they belonged to. By the same token, the statues were made not just for the worshippers in the regions but for those in the capital. Capital but for those outside it.
    The widespread worship of Vairocana Buddha image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was related with the diminished royal authority he had to suffer as a successor from the line of King Wonseong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Coming to power as the King Heonan's son-in-law, he needed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actively sought cooperation with influential Zen monks outside the capital for a more efficient rule of the regions and supported Buddhism to ensure stability and legitimacy of the royal family he headed. The King Gyeongmun's policy greatl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Zen Buddhism and the appearance of large Zen monasteries and temples. These communities of Zen Buddhism were consisted of several hundred, even thousand, monks whose labor played a crucial role in carrying out large-scale religious projects such as the production of giant iron statues. As for the Buddha statues, Vairocan Buddha image was preferred largely because his symbolism would better justify the King Gyeongmun's autocratic rule. While not all the Buddhist statues of the period were made under the patronage of the royal family, it is clear that the King Gyeongmun's sponsorship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art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That is why we can conclude that King Gyeongmun was the last Silla ruler who flourished the Buddhist art of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