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 왕따가 철학의 문제인가? (Why Wangdda is a Philosophical Probl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3.09
16P 미리보기
왜 왕따가 철학의 문제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64호 / 231 ~ 246페이지
    · 저자명 : 정세근

    초록

    이글은 왕따가 어떻게 철학적 주제로 성립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왕따는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초중등학교에서 벌어지는 집단 따돌림을 가리킨다. 왕따는 단순한 따돌림만이 아니라 동료들에 의한 집단적 괴롭힘을 수반한다. 때로는 육체적 폭력과 금전적 강탈이 포함되어 자살을 유발하기도 하다.
    학교는 공동사회와 이익사회의 중간에 위치한다. 그런데 학교가 왕따를 방치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교육이 공동체훈련을 포기했음을 의미한다. 학교는 더 이상 공동체가 아닌, 단순한 이익집단으로 전락한다. 학교 그 자체로서 교육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우리는 공리주의에 대한 심각한 오해를 갖고 있다. 공리주의는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의 최대화를 추구하는 것임에도, 번역어의 문제로 잘못 이해되고 있다. 공리주의의 최대 난제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위해서는 노예제도 불사하는 것임을 떠올리자. 한국의 교육이 공리주의를 강조하면 할수록 왕따는 자라난다. 왕따는 우리 교실에서 젊은 학생을 끊임없이 유혹하는 공리주의의 망령이다.
    왕따는 또한 차별이라는 악귀를 기른다. 학생들은 왕따를 통해 차별을 연습한다. 왕따는 사춘기 시절의 부산물이 아니라 장차 범죄의 징후이다. 왕따가 다문화가정의 아이들에게 쏠리면 인종차별이고, 여성에게 벌어지면 남녀차별이고, 공부를 못하는 아이에게 모이면 학력차별이고, 타지에서 전학 온 학생를 대상으로 삼으면 지역차별이다. 따라서 왕따는 차별적 범죄행위의 조짐이다. 만일 학교가 왕따를 용인한다면 그것은 곧 범죄를 방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차별을 체화한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 어떠한 차별을 자행할 것인가 상상해보자.
    심지어 왕따는 익명적이기 때문에 더욱 폭력적이다. 가해의 주체가 숨겨져 있어 지능적이고 계획적이다. 제복의 폭력성도 그 안에 숨어있다.
    왕따는 철학의 문제다. 공리주의 문제이며, 차별의 문제다. 즐거움의 문제이고, 올바름의 문제다. 불행 앞에서, 차별 앞에서, 폭력 앞에서 철학은 늘 고민했다. 행복과 평등 그리고 평화를 좇기 위해서 철학자는 우리 교육의 현실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how wangdda comes into a philosophical subject. Wangdda stands for Korean students' group bullying after 1990's. Wangdda includes not merely bullying but also physical violence and economical seizure, which sometimes leads young students to commit suicide unfortunately.
    School exists between Gemeinschaft and Gesellschaft. If school neglected wangdda, then our education already gave up a practice for community. School becomes a society for individual profit rather than a community. Education as scholl itself won't persist for the future.
    Korean has a serious misunderstanding about utilitarianism. Utilitarianism pursues the maximum utility, instead of striving for the public welfare. However Korean regards it as the theory of public welfare because of mistranslation. The most difficult problem is that utilitarianism permits the slavery in the principle of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As Korean education system emphasizes utilitarianism, wangdda would grow even more. Wangdda is an utilitarian ghost which incessantly tempts students in their class.
    Wangdda also raises a demon of discrimination. Students practice discrimination through wangdda. Wangdda is not a byproduct of adolescent but a criminal symptom in the future. Wangdda against multi-cultural family is racial discrimination; wangdda against female is sexual discrimination; wangdda against scholastic level is academical discrimination; wangdda against new comer from a different province is regional discrimination. Therefore wangdda becomes an omen of discriminative crime. If school allows wangdda, then it is not different from aiding and abetting. Let's imagine what kind of discriminative crime will be committed by students who already made a practice of bullying.
    Furthermore, wangdda is more violent than it sounds since it is anonymous. An dexterous assailant of violence would be hidden like man in uniform.
    Wangdda is actually a philosophical problem. It is the problem of utilitarianism and discrimination, related with happiness and righteousness. Philosophers have considered the present education of Korea in front of unhappiness, discrimination, and violence to follow happiness, equality, and pe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