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聖德王代의 對日關係와 ‘王城國' (Relationship with Japan and ‘Wang Seong Guk(王城國)’ in King Seong-deok’s(聖德王) Era of Sill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9
39P 미리보기
新羅 聖德王代의 對日關係와 ‘王城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87호 / 295 ~ 333페이지
    · 저자명 : 야마다 후미토

    초록

    이 글은 성덕왕대 신라와 일본의 관계와 735년 신라가 일본에 대해 자국을 ‘왕성국’이라 표방한 사건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8세기에 들어와 신라와 일본 사이에 미묘한 신경전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는 701년 일본에서 「大寶律令」이 제정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일본 측 사료는 율령법의 이념에 입각하여 일관되게 신라를 朝貢國이라 서술했다. 「대보율령」 제정은 일본 율령법의 이념이 실제 양국 간의 외교에 서서히 영향을 끼치게 되는 계기로 작용했던 것이다.
    720년대 이후 양국 간의 정치적 긴장이 심화되면서 일본이 신라에 군사를 일으키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는 735년에 이르러 일본 平城京에서 자국이 ‘王城國’임을 표방했다. 이 배경에는 720년대에 들어와 신라가 일본을 비롯한 국제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당 지향적 외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신라의 이러한 움직임은 발해를 경계하고 있던 당의 외교 정책과 맞물리고, 730년대에 들어와 당과의 관계는 군사동맹을 맺을 정도로 견고해졌다. 734년 초에 신라왕이 당으로부터 寧海軍使로 책봉된 것은 신라 주변의 바다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을 인정받은 것으로 신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로써 신라는 일본에 사신을 파견하여 ‘왕성국’임을 표방하게 되었다. ‘왕성국’은 ‘王이 거주하는 城이 있는 나라’로 당으로부터 인정받은 ‘諸侯王’의 존재를 강조한 표현이다. 당을 모방하여 율령국가 체제를 구축해 나가고 있던 일본은 신라의 ‘왕성국’ 표방으로 인해 신라 사신을 京에서 맞이할 수 없게 되었다. 즉 신라는 ‘왕성국’ 표방을 통해 일본에 대해 동아시아 국제 질서 내에서 자국의 우위성을 확고히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新羅) and Japan(日本), the meaning of Silla’s proclaiming their own country as “Wang Seong Guk(王城國)” to Japan in 735 in that process. In the 8th century, a cold war was developed between Silla and Japan. This is closely related to Japan’s enactment of “Taihou Code(大寶律令)” in 701.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totally present Silla as Tribute country that based on the principal of the Code. The enactment of “Taihou Code” acted as a trigger for gradual influence of the philosophy of the Code in actual diplomacy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720’s, the political tens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severe, and occured the incident that Japan caused military activity against Silla. Under these circumstances, Silla, in 735, declared that the country is “Wang Seong Guk” in Heijokyo(平城京), Japan. This background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Silla began to aggressively promote foreing policy to Tang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cluding Japan, in the 720’s.
    These movements are engaged with the foreign policy of Tang(唐), it afraid of Balhae, and in the 730s the relationship with Tang became strong enough to connect military alliance. The fact that the King of the Silla was approved in investiture system from Tang as the Navy in the beginning of 734 contributed to raising the international status of Silla as being recognized as having substantial control over the sea around Silla. After that Silla sent messengers to Japan and declared that it was “Wang Seong Guk”. “Wang Seong Guk” can be interpreted as “a country where the king lives a castle”, and is an expression emphasizing the existence of “local King” recognized from Tang. Japan, which imitated Tang and built a nationwide system, became unable to welcome Silla’s messenger in capital, couse of the proclaiming of Silla’s “Wang Seong Guk”. In other words, through the proclaim of “Wang Seong Guk”, Silla has firmed up its dominance to Japan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