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逸周書』 「王會解」篇의 성서 시기 연구 ―「王會解」篇 中 ‘成周之會’ 관련 원전의 성서 시기 (The Publishing Time of the Chapter of WanghuiJie, Yizhoush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3.02
28P 미리보기
『逸周書』 「王會解」篇의 성서 시기 연구 ―「王會解」篇 中 ‘成周之會’ 관련 원전의 성서 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6호 / 103 ~ 130페이지
    · 저자명 : 오현수

    초록

    『일주서』는 서주~한대에 걸쳐 광범위한 시간 범위속에서 성서되었다. 특히 「왕회해」편은 서주 성왕 시기 서주가 주최한 회합에 예와 맥이 독자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듯이 기재하였다. 고조선의 종족적 실체가 예맥이라는 전제하에서, 서주대의 예족과 맥족을 언급하는 「왕회해」편의 ‘성주지회’ 조문은 오랜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왕회해」편에 대한 사료 맥락적 분석을 시도한 바, 이는 서주대의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전국시대 초반의 상황을 서주대로 소급시켜 적용한 결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한 근거로 성주지회에 참가하는 북방 외족들이 역사적으로 등장하는 시기가 서주대보다 훨씬 후대라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산융ㆍ영지ㆍ고죽ㆍ도하 등은 춘추시대에, 동호는 전국시대 연나라의 동북쪽에 존재했던 외방 세력이었다. 그러므로 성주지회 조문은 서주대의 역사적 사실의 기록이라기 보다는 후대의 윤색된 창작물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동호의 예는 「왕회해」편의 성서 연대가 최소 전국시대 개시 이후라는 것을 말해 준다.
    한편 예족은 산동성~하북성~요령성 등, 환발해의 연안에서 존재했던 고대 동방 종족의 한 갈래였다. 그리고 맥족은 섬서성ㆍ산서성의 북쪽 지역과 하북성ㆍ요령성 등에 거주했던 북방 세력에 대한 범칭이었다. 서주 초기 소공 석은 하북성 남부 지역을 연나라로 분봉받는데, 이후 연나라는 동북방 세력인 예족과 맥족이 한후에 의해 통치되던 상황과 맞딱뜨렸을 것이다. 그러므로 서주 연나라는 동북방 외족으로 예와 맥을 관련된 종족으로 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서주의 동북방 비중원계 외족에 대한 관념이 예맥으로 고정되었을 것이다.
    이후 중원 세력이 하북성 지역을 강역화하면서, 동북쪽의 외방인들이었던 예ㆍ맥에 대한 관념 또한 동북쪽으로 더 확대되어 예맥족으로 고정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은 ‘예맥’의 용례가 전한대를 시대 배경으로 하여 요동 지역의 종족에 대응하여 등장하는 상황과 정확히 일치한다.
    그런데 성주지회 조문에는 서주대에 예인(예족)과 발인(맥족)이 분립되어 나온다. 그리고 예맥 연칭의 관념은 전국시대 후기 연장 진개의 동북방 정벌 이후에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성주지회 조문의 성서 시점은 대체로 전국시대 초반, 즉 기원전 5~4세기 경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일주서』 「왕회해」편을 기초로 하여 서주 초기 고조선의 역사성 혹은 고조선의 종족적 실체로 간주되는 예맥족을 논한 기왕의 견해들은 재고의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conducted until now considered only WanghuiJie, Yizhoushu, in a point of view that it is a tribe of the Gojoseon which is the Weimo. But because Shanrong and donghu were mentioned in this chapter, I can not relate it to the Gojoseon before 1100 B.C. Yet in other parts, the Wei tribe and the Mo tribe existed in Western Zhou, this is why the Wei and the Mo are found in the gold letters of Western Zhou.
    Additionally, the Hanhu ruled the Wei tribe and the Mo tribe in Hebei during the Western Zhou dinasty. At that time, the Wei tribe and the Mo tribe were probaly unified but we can not call them "Gojoseon". Zhaogong Shi received Yan as a fief in the early Western Zhou dinasty, since then Yanhu considered the Wei tribe and the Mo tribe as a part of the north-eastern area of the Yan State.
    Therefore the Yan State understood northeastern state as a part of the Wei and the Mo tribe. Since then China expanded its realm to the northeast, they recognized the Liaoning as a part of the Weimo tri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