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충(王充)의 교육사상 분석 (Analysis of Wang Chong’s Educational Thou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5.05
30P 미리보기
왕충(王充)의 교육사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71권 / 139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애, 권민희

    초록

    본고의 목적은 『논형』에 보이는 왕충의 교육사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왕충은 인간의 본성이 태어날 때 이미 결정된다고 논했지만, 악인으로 태어났더라도 교육을 통해 선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왕충은 당대 축적된 사회적 폐단과 부패의 해결책으로 관료와 지식인의 역량 개선에 집중하였다. 문관을 비판하면서 현실사회의 폐단을 드러내었고,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홍유’를 제시하면서 교육의 목표와 그 효과를 기대하였다. 또한 교육으로써 인도할 수 있는 인간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았으며, 누구나 배우고 노력하는 것을 통해 성현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졌다고 여겼다. 이를 통해 국가사회의 제도와 체계까지도 개선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왕충의 교육에 대한 논의의 중점은 본성이 악한 사람일지라도 교육을 통해 선해질 수 있다는 교화에 집중한 것이며, 혼란한 사회를 비판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가치관을 제시한 것이다.
    결국 왕충의 교육관을 다음과 같이 규명할 수 있다. 지식인인 왕충은 당대의 사회적 문제에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점을 명확하게 지적한 것이다. 악인일지라도 지식인의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점, 교육이 국가사회와 정치적 폐단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믿음에서 제기된 것이다. 즉 사회를 변혁하는 과제를 교육이라는 답으로 제시한 것이며 규범을 세웠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ang Chung's view of education in the Lunheng (論衡). Wang Chong argued that human nature is already determined at birth, but he argued that even if a person is born evil, he can become a good person through education. Wang Chong focused on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bureaucrats and intellectual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and corruption of society accumulated in that era. by criticizing civil servants, he exposed the absurd and evil customs of real society, and by presenting ‘Hongyu (鴻儒)’ as an ideal human being, he anticipated the goals and effects of education. In addition, he did not limit the scope of human beings who could be led and changed by education. Everyone had the potential to reach the realm of a holy and wise person through learning and trying. Through this, he had the view that the institutions and systems of the national society could be improved. The focus of Wang Chong's discussion on education is on the teaching that even people with evil nature can become good through education, and he presents the value of criticizing a chaotic society and creating a better world. In the end, Wang Chung's view of education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Wang Chung, who was an intellectual, clearly pointed out the problem of how to answer the social problems of the time. It was raised based on the belief that even evil people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by intellectuals, and that education will solve the absurd evil practices of the national society and political society. In other words, it presented the task of transforming society as the answer to education. It can also be said that it established n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