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하대 효공왕의 헌강왕 서자설 재검토 (A Review of the Opinion of King Heongang's Bastard Son of King Hyogo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5.07
35P 미리보기
신라 하대 효공왕의 헌강왕 서자설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2호 / 135 ~ 169페이지
    · 저자명 : 선석열

    초록

    이 글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효공왕이 헌강왕의 서자라고 보는 것에 대해 재검토한 것이다. 헌강왕은 순행하는 도중에 아름다운 여자를 만나 야합하여 효공왕을 낳았다고 전한다. 효공왕이 즉위한 후에 어머니를 의명왕태후로 책봉하였는데, 연구자들은 의명왕태후가 효공왕의 어머니가 아니라고 보았다. 898년 무렵 최치원이 찬술한 불국사 관련 기록에 왕비 김씨가 등장하는데, 헌강왕의 왕비이다. 왕비 김씨의 아버지는 관등이 이찬으로 진골 귀족이었다. 헌강왕은 왕비가 두 명이었다. 첫째 왕비는 의성부인과 계아부인을 낳았으나, 해당 기록에 이름이 전한지 않는다. 둘째 왕비는 883년에 헌강왕을 만나 효공왕을 낳았으며, 왕비 김씨로 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국사기』에는 왕의 어머니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헌강왕의 왕비인 의명왕후는 왕비 김씨로서 효공왕의 어머니이다. 왕비 역시 진골 신분이었으므로, 아들 효공왕은 서자가 아니라 적자였다. 효공왕 이후 왕실에 적자가 없고 부마가 김효종과 박경휘 두 명이 있었다. 박경휘가 김효종을 누르고 왕위에 올랐다. 5세기 눌지왕 이래로 박씨가 왕이 될 수 없었으나, 912년 효공왕이 사망한 후에 박씨가 왕위에 올랐다. 그들은 왕위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효공왕을 서자로 조작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general opinion that King Hyogong was a bastard son of King Heongang. The record volume of Samguk-Sagi as follows : King Heongang had intercourse with a Beauty when he made a tour, and gave birth to Kim Yo(King Hyogong). After King Hyogong was accession to the throne, he investitured his mother 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The researchers say that she was not his biological mother.
    But King Hyogong's biological mother was a Beauty whose father held Aristocracy Jingol and filled the official rank of Ichan, and who was called Queen Kim in records of Bulguksa written by Choi Chi-won toward 898.
    King Heongang had the queen of the two to give birth to son. The first queen has two daughters, but her name not reported on records. The second queen had met the king in 883 and gave birth to the Prince Kim Yo in 885. In general, the mother of the king were recorded in Samguk-Sagi. Therefore, King Hyogong's mother was the Queen Mother Euimyeong as King Heongang's queen.
    There were no deficit to the royal family and were the son-in-law of the two since King Hyogong, Park Kyeong-hwi pushes Kim Hyo-jong and took the throne.
    Nevertheless, what was the reason they call King Heongang stepped forward?. Despite the fact can not be the king since the fifth century A.D., Park of noble blood came to the throne in 912. They distorted him a bastard to justify their own the throne succ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