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일(抗日)과 향수(鄕愁)의 길항― 타이완 영화는 식민지 시대를 어떻게 그리고 있나 ― (Struggle between Resistance to Japan and Nostalgia for Japa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5
14P 미리보기
항일(抗日)과 향수(鄕愁)의 길항― 타이완 영화는 식민지 시대를 어떻게 그리고 있나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1호 / 181 ~ 194페이지
    · 저자명 : 강태웅

    초록

    이 논문은 최근 흥행에 성공한 타이완 영화들 속에 드러나는 일본의 식민지 기억을 분석하였다. 그 기억이 한국과 어떻게 다른지를 찾아보고, 그러한 기억의 차이가 어디서 생겨났는지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일본인에 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타이완 원주민을 그린 영화 <세에딕 발레(Seediq Bale)> (2011)는 항일 영화로 보아도 손색없는 작품이다. 반면에 타이완인과 일본인이 한 팀을 이루어 일본 고교야구 대회 고시엔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과정을 그린 <KANO>는 마치 ‘대동아공영권’을 선전하는 영화처럼 느껴진다. 이처럼 영화 속에서 드러나는 타이완 사람들의 식민지 시대에 대한 기억에는 한국인이 공유할 수 있는 측면이 많기도 하면서도,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그들만의 독특함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한 독특함, 다시 말하면 한국과의 차이점은 여러 측면에서 분석 가능하다. 타이완은 식민지 이전에 독립된 국가가 아니었고, 타이완의 정체성은 식민지 시대에 형성되었다. 식민지가 끝난 뒤 들어온 국민당에 대한 반발은 일본 식민지 시대에 대한 긍정론으로 이어졌다. 거꾸로 식민지 시대를 부정하면 국민당의 역사관을 받아들이는 자로 인식되는 것이다.
    영화를 통해서 본 타이완의 식민지 시대에 대한 기억은 한국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이 극명하다. 타이완과 한국은 모두 일본의 식민지였지만, 그 시대에 대한 경험이 전부 같았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와 다르다고 그들의 인식을 아예 잘못되었다거나 틀렸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중국과 타이완이라는 관계에 빠져버린 나머지, 동아시아 전체를 조망하거나 식민지와 침략이라는 가해적 행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일관되지 못함은 지적해야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presents a study in which the colonial memory that was represented in Taiwan cinemas was analyzed. The movie <Seediq Bale>, which is about Taiwan natives who rose in revolt against Japan, is a work that could be characterized as an anti-Japanese movie. On the other hand, <KANO>, which describes the procedure of Taiwanese and Japanese participants winning the second place in Koshien as members of the same team, appears to be a film that advertises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 Taiwanese memory of the colonial period has many similarities that Koreans could share; however, Taiwanese memory also has its peculiarities.
    These peculiariti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with Korean memory, can be analyzed from many points of view. Taiwan was not an independent country before it was colonized. Moreover, the Taiwanese identity was formed during the colonial era. The resistance against the Nationalist Party was extended to the positive reac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versely, a person who rejects the colonial era might be recognized as one who accepts the Nationalist Party’s concept of the history.
    Taiwan and Korea were both Japanese colonies, but their experiences during that era were not exactly the same. Therefore, Koreans cannot conclude that the Taiwanese understanding is completely wrong simply because it differs from their own. However,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he Taiwanese lack a critical view of harmful actions such as colonization and invasion because of their country being absorb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aiw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