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게임적 리얼리즘’ 재론 - [올 유 니드 이즈 킬]의 사례를 중심으로 (Revisiting ‘Gamelike realism’: with [All You Need Is Kill] as a semiotic analysis cas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9.12
34P 미리보기
‘게임적 리얼리즘’ 재론 - [올 유 니드 이즈 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61권 / 123 ~ 156페이지
    · 저자명 : 송태미

    초록

    일본의 서브컬처 비평가 아즈마 히로키는 라이트노벨과 노벨게임 분석을 통해 게임의 구조를 닮은 오타쿠계 판타지 이야기를 리얼리즘 문학으로 읽는 이른바 ‘게임적 리얼리즘’을 제안한 바 있다. 그는 게임적 리얼리즘 문학이 탈근대화하는 사회의 ‘동물화’, 즉 ‘인간성의 퇴행’을 재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특수한 문학에서 보편적 문화를 읽는 방법론으로서의 ‘게임적 리얼리즘’의 의의를 서술하는 한편 ‘인간성의퇴행’이라는 히로키의 회의적 결론이 전제하는 휴머니즘적 인간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우리는 ‘게임적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텍스트로서 히로키가 분석한 작품『올 유 니드 이즈 킬』을 중심으로 ‘게임적 리얼리즘’이 무엇을 가리키는가를 살펴보고 신체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업데이트한 인간관에 따라 작품의 다시 읽기를 시도하였다.
    이 작업에서 분석 도구로 채택한 이론은 후기 파리학파를 주도하고 있는 기호학자 자크 퐁타뉴의 긴장도식과 신체-행위소 이론이다.
    ‘게임적 리얼리즘’ 작품은 정신적 자아와 신체적 지각 경험 사이의 부조화에 직면한인간의 실존을 잘 보여준다. 인간을 정신적 존재, 내러티브적 존재로 규정하는 휴머니즘적 관점에서 히로키는 상술한 부조화의 문제를 ‘인간성의 퇴행’으로 해석한 것이다.
    그러나 신체적 존재로서 인간을 재정의하여 수행한 [올 유 니드 이즈 킬]에 대한 우리의 분석은 ‘게임적 리얼리즘’에서 ‘인간성의 퇴행’보다는 ‘어떤 새로운 인간성으로의이행’을 발견한다.

    영어초록

    realism” he read “realistic literature” about Otaku’s fantasy-based stories that resemble the structure of the digital game. According to the author, Gamelike realism texts describes “animalization” or “a regression of humanity” of our contemporary postmoder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Gamelike realism’ as a methodology for reading global culture in a special literature mode and raise the question of humanistic view, which is predicated by Hiroki’s skeptical conclusion of ‘the regression of humanity’. We looked at what ‘gamelike realism’ was and tried to re-read it from a “post-humanistic” perspective, focusing on ‘All You Need Is Kill’ analyzed by Hiroki. The theory as analysis tool we adopt is the model of Corps-actant designed by a french semiotician Jacques Fontanille.
    The ‘Gamelike realism’ shows the human existence that face a mismatch between the physical, perceptual experience and the storytelling of our ego. According to Hiroki’s humanistic view, which defines human as a narrative animal, this problem can be interpreted as a “depression of humanity.” However our semiotic analysis of “All You Need Is Kill” redefines humans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and discovers the human species’ original strategy mediating between the ego and the physical experience. This seems to mean that human race is moving to an “any new humanity” rather than animaliz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