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吃窩 李根玉의 생애와 시문학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Life and Han Poetry of Heulwa Lee Geun-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吃窩 李根玉의 생애와 시문학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2호 / 451 ~ 483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진

    초록

    이 글은 吃窩 李根玉(1824-1909)의 생애와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그는 현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世干里 출신이다. 어려서부터 早達兒로 일컬어진 그는 조부 李龍奎에게 수학하며 가학을 계승했다. 이후 柳致明과 許傳에게 수학하고 두 스승의 문인들과 교유함으로써 南人 계열의 師承과 교우관계를 갖게 되었다. 이는 인조반정(1623)과 무신란(1728) 이후 南冥學을 기반으로 하던 경상우도 지역 문인들의 남인화나 노론화 경향과 궤를 같이한다. 지역 사회를 위해 그는 尊德齋를 건립하고 講會를 개설하는 등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선현 유허 보존에 노력하였다. 51세 때 생원시에 합격하여 成均生員이 되었으나 부친상으로 귀향하였다. 이후 그는 은거의 길을 걸어 만년에 花柳洞에 過川亭을 지어 선현 程顥의 志趣 추향과 求道 및 安貧樂道處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하지만 동학혁명의 영향으로 그는 72세 때 의령 지정면 杜谷으로 옮겼고, 거기서 86세의 나이로 생을 마쳤다.
    이근옥은 111題 159首의 한시 작품을 남겼다. 그중 직접 체험의 진정성 담긴 경물시, 유람시, 영물시 유형에서 그의 오롯한 의식 세계 발현을 살필 수 있다. 그 속에 의미 양상은 화류동 십경을 통한 덕성 함양과 천리 체찰, 고적 유람과 看人看世의 흥취, 연꽃에 투영한 共潔 의식 등 3가지로 나타난다. 이로써 이근옥의 시문학은 은거로 점철된 그의 생애 반영과 유학자로서의 성리학적 사유 표출이 돋보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ext examines the life and literary development of the Han poetry of Heulwa (吃窩) Lee Geun-ok(李根玉, 1824-1909). He was born in Segan-ri, Yugok-myeon, Uiryeong-gun, Gyeongsangnam-do. Known from an early age as a “precocious child(早達兒)”, he studied under his grandfather, Lee Yong-gyu(李龍奎), and inherited his family’s academic tradition. Later, he studied under Yoo Chi-myeong(柳致明) and Heo Jeon(許傳), and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ir literary disciples, he formed master-student (師承) and friendly relationships within the Namin(南人) faction. This aligns with the trend in the Gyeongsang Right Province(慶尙右道) of transitioning from the Namin or Noron(老論) factions, which had historically been rooted in Nammyung studies(南冥學) after the Injo Coup(仁祖反正, 1623) and the Musin Rebellion(戊申亂, 1728).
    To contribute to his community, Lee built the Jondeokjae (尊德齋) and organized lectures (講會) to preserve the remains and heritage of esteemed historical figures that had been destroyed under the decree to abolish Seowon (Confucian academies). At the age of 51, he passed the Saengwon Examination(生員試) and became a student at the Sungkyunkwan Academy(成均生員). However, he returned home due to the death of his father. Following this, he chose a life of seclusion and, in his later years, built Gwacheonjeong(過川亭) in Hwayudong(花柳洞), embodying the ideals of pursuing virtue, adhering to the aspirations of the great Confucian scholar Jeong Ho(程顥), and finding meaning in living modestly and peacefully in harmony with nature.
    Due to the effect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e moved to Dugok(杜谷) in Jijeong-myeon, Uiryeong, at the age of 72, where he lived until his death at the age of 86.
    Lee Geun-ok left behind 159 poems across 111 titles. His works reveal his profound and solitary consciousness, especially in poetic genres such as scenery poems(景物詩), travel poems(遊覽詩), and descriptive poems of extraordinary objects(詠物詩), which reflect authenticity derived from his personal experiences. The themes in his poetry manifest in three ways: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observation of natural principles through the Ten Scenic Views of Hwayudong(花柳洞十景), the joy of exploring historical sites and reflecting on humanity and society(看人看世), and the symbolism of shared purity(共潔) as depicted in the lotus flower. Consequently, Lee’s poetic literature stands out for its reflection of his secluded life and the Neo-Confucian philosophical insights he expressed as a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