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Okyeondong- A liberating Space for Women in SukyeongNangjaJe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1.02
28P 미리보기
&lt;숙영낭자전&gt;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21호 / 281 ~ 308페이지
    · 저자명 : 김선현

    초록

    일반적으로 고전 소설의 공간은 천상과 지상, 비현실과 현실 등의 두 체계로 이원화된다. 그런데 <숙영낭자전>에는 천상과 지상 사이에 옥연동이라는 새로운 장소가 설정되며, 이 공간은 여성적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적 특성에 주목하여 <숙영낭자전>의 공간 구조를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 공간으로서 옥연동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공간에 대한 상상력, 여성 공간 설정의 의미를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숙영낭자전>의 공간은 유교적 이념이 강하게 작용하는 남성 공간인 안동과 이념을 초월한 여성 공간인 옥연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안동이 높은 담장을 가진 폐쇄적 공간으로 그려지는 것과 달리, 옥연동은 온갖 꽃과 자연물이 조화를 이루는 열린 공간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의 형상화는 곧 공간의 성격을 규정하고, 숙영낭자의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숙영낭자는 옥연동에서 꿈을 매개로 적극적인 언사를 펴지만 안동에서는 자신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펴지 못하고 정절 모해를 입고 자결하는데, 이는 공간의 성격과 관련을 맺는 것이다.
    즉, 안동은 숙영낭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억압 공간인 반면 옥연동은 주도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해방 공간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공간의 존재 양상에 주목해 본다면, <숙영낭자전>은 옥연동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설정함으로써 가부장의 권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여성 해방 공간을 소설 속에 마련한 작품으로 파악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당대의 여성 독자들은 이 작품을 읽으며 여성이 적극적 의지를 표현할 수 있는 세계를 꿈꾸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Usually, spaces in classical novels are divided in two tiers, such as the heaven and the earth, or the reality and the unreality. However, in SukyeongNangjaJeon, Okyeondong is set as a new area between the heaven and the earth, which is figured as a feminine space. In this paper, as we no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 in SukyeongNangaJeon, it i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based on that, I want to examine the meaning that Okyeondong has as a liberating space for women. By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magination about spa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meaning of setting women’s space could be analyzed.
    The spaces in SukyeongNangjaJeon divided in two tiers of Andong, where Confucian ideology is strongly applied, and Okyeondong, where the ideology is passed over. Andong is figured as a closed space surrounded by high walls, while Okyeondong is an open space where numerous flowers and natural stuffs are harmonized with. And this figuration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for the space, and has impact on the behaviors of Sukyeong Nangja. Sukyeong Nangja shows actively her words and expressions by media of her dream in Okyeondong, but she doesn’t do so in Andong and suicides herself by falsely being accused of about her fidelity. It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It means that Andong is an oppressed space where Sukyeong Nangja cannot express her intentions freely, while Okyeondong is a liberating space where she can shows her wills in her own control. When we notes these spatial modes, we can find that SukyeongNangjaJeon arranged the women’s liberated space, where women could be escaped from authority of patriarchy, by setting a new space of Okyeondong. And the women readers at that time seemed to imagine a world where women can express their active wills, when they read the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