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조 장두체(藏頭體) 및 옥연환체(玉連環體)의 창작방식에 대하여 (Concerning the Creative Writing Methods of Jangdu-che and Okyeonhwan-ch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조선조 장두체(藏頭體) 및 옥연환체(玉連環體)의 창작방식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75호 / 333 ~ 36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진

    초록

    본고는 잡체시에 대한 구체적인 작법 연구와 관련하여 그 중 조선시대 다수의 문인들이 즐겨 창작한 장두체(藏頭體) 및 옥연환체(玉連環體)의 다양한 작법 탐색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잡체시의 종류는 크게 창작주체․특수규칙․시어(詩語)적용․평측(平仄) 및 대우(對偶)․구식(句式) 관련 등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그 중 특수 규칙과 관련한 장두체는 매 구의 첫 글자가 모두 매 구의 마지막 글자에 숨어있는 시로써, 각 구의 마지막 글자를 파자하여 그 끝부분을 다음 구의 첫 글자로 사용하면 시 한 편이 고리처럼 연결된다 하여 달리 옥련환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고는 실제 조선조 시단에서 구사된 장두체 및 옥련환체의 작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우선 ‘장두’와 ‘옥연환’이란 이름으로 문집 내 수록되어 있는 작품현황을 파악한 결과, 48명의 문집에서 해당 작품을 확인하였고 작법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매 구 마지막 글자 일부를 다음 구 첫 글자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인 작법이 있었고, 두 번째로는 특정 글자를 매 구 첫 자에 삽입하는 방식, 세 번째는 매 구를 양분하여 다음 구에서 재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네 번째는 마지막 구 일부 혹은 전체를 다음 작품 처음에 사용하는 방식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두체와 옥연환체는 실제 창작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었으며 이 두 시체명은 조선조 문인들이 편의에 따라 사용된 개념이자 그 중에서도 ‘옥연환’이란 명칭을 즐겨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장두체 및 옥연환체의 이같은 다양한 작법은 한꺼번에 산생된 것이 아니며 기존의 방식에 약간의 변화를 가미하여 생성된 것으로, 오랜 세월 다수의 문인들이 지속적으로 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시체의 발전과 변화과정에 대한 사실기록의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조선 당대 장두체 창작은 순수 서정문학을 넘어선 유희와 재미를 위한 놀이였다. 특정 형식을 빌어 즐겨 창작했던 것은 작가 개인의 기호와 인식 여하에 따른 것이겠지만, 이것이 수백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작가 스스로 창작을 통해 흥미를 느끼고 문학교류에 활용하는 등 그 어떤 형태로든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장두체는 특정 글자를 분리 및 결합하여 싯구를 이어나가는 작법을 통해 한문자의 어원적 특징 및 한자의 형성원리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시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장두체의 한시사적 가치를 되짚어 봄으로써 한시사에 있어 장두체의 존재를 부각시키고 그 위상을 재확인하는 기회를 마련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relation to the study of detailed creative writing methods for Japche- si(miscellaneous style poetry) poetry, the paper was written as part of the study on the search for the various writing methods of Jangdu-che and Okyeonhwan-che which were often used by a number of authors in the Joseon era. The paper first inquired into the current status of works listed in anthologies named ‘Jangdu’ or ‘Okyeonhwan’ in order to confirm in detail the writing methods of Jangdu-che and Okyeonhwan-che, which were used by the poetical circ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found the name in the works of 48 poets and that the writing method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First, the method of using a part of the last letter in each phrase for the first letter in the next phrase was the most general writing method, the second involved a method of inserting a particular letter into the first letter of each phrase, and the third was to divide each phrase into two to reuse it in the next phrase, and the fourth was to use a part or the whole of the final phrase at the begininning of the work.
    Through the writing method of linking the poetic phrase by separation and combination of particular letters, Jangdu-che became the representative poetic style that clearly displays the formation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etym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existence of Jangdu-che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and establishes the opportunity to reconfirm its status by retracing the its historical value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dealt with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