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에 담긴 ‘옥(獄)’의 의미와 해석 특징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s of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Yu(獄) in Zhouy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1.02
26P 미리보기
『주역』에 담긴 ‘옥(獄)’의 의미와 해석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54권 / 325 ~ 350페이지
    · 저자명 : 이난숙

    초록

    이 글에서는 『주역』에서 ‘옥(獄)’을 표현한 괘의 괘상(卦象)과 역사(易辭)에 담긴 의미와 해석 특징을 해명하였다. 구체적인 문제의식은 첫째, 『주역』에서 ‘옥(獄)’은 다섯 괘에만 표현되었는데, 이들 괘의 상(象)과 사(辭)에는 어떤 일관된 특징이 있는가? 둘째, 『역경』의 괘사에서 ‘옥(獄)’을 표현한 괘는 서합괘(噬嗑卦)가 유일하고, 『역전』은 비괘(賁卦), 풍괘(豐卦), 려괘(旅卦), 중부괘(中孚卦)의 「상전」에 표현되었는데, 『역경』과 『역전』의 형성 시대가 다르므로 ‘옥(獄)’의 의미와 해석의 차이점은 없는가? 셋째, ‘옥(獄)’을 표현한 다섯 괘의 괘상은 해석방법론 측면에서 어떤 공통점이나 유사한 특징이 없겠는가의 의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역경』과 『역전』에 표현된 ‘옥(獄)’의 역례(易例)를 나누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옥(獄)’은 감옥(監獄)의 장소적 의미뿐만 아니라 옥송(獄訟), 옥사(獄事), 옥형(獄刑), 형옥(刑獄) 등의 의미가 있으며, 고대의 형법의 제정과 정사(政事)에서의 형벌의 집행과 연관적 특징이 있다.
    둘째, 『역경』은 선왕(先王)을, 『역전』은 군자(君子)를 주체로 하여 ‘옥(獄)’을 사용하고 판단하는 일을 중요하게 경계(警戒)하였다. 고대 사회의 ‘옥’이 중대사이며, 형법 제정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서합괘에서 확인된다. 또 네 괘의 「상전」에서는 ‘옥’을 결정함, 형옥의 판결, 사형 판결에서의 완급 조절까지 말하고, 밝은 분별력과 신중한 조절능력을 갖출 것을 일깨웠다. 이러한 경계와 신중함은 인간 생명의 존중과 옥사와 관련하여 선왕과 군자의 판단능력을 중요하게 보았다는 의미이다.
    셋째, ‘옥(獄)’을 표현한 서합괘, 비괘, 풍괘, 려괘는 리화(離火)의 소성괘를 포함하며, 중부괘의 괘상은 대리괘(大離卦)라는 특징이 있다. 해석방법론 측면에서는 서합괘와 비괘, 풍괘와 려괘가 서로 반괘(反卦)이자 도전괘(倒顚卦)이고, 부도전괘인 중부괘를 제외한 네 괘는 교역(交易)된 종괘(綜卦)라는 연관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주역』에 표현된 ‘옥(獄)’은 취상설과 취의설을 모두 적용했고, 『역경』보다 『역전』이 저술된 시대의 철학적 배경을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점복으로 형법 제정의 필요성을 넘어서, 전쟁을 겪고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옥사, 형옥, 옥형, 절옥 등의 분별력과 지혜가 필요했음을 의미한다. 이에 형법을 집행함에 있어서 명철한 판단력과 신중한 분별력을 강조한 역사(易辭)에 정치적, 철학적 의미가 수록된 시대적 배경이 포함되었음을 나타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yu(獄)’ expressed in gua(卦). It is a dissertation that discourses on three major problems replicated i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guaxiang(卦象) and the sentences of Zhouyi(周易). Firstly, the study pursuits the characteristics of ‘yu’ expressed in guaxiang and the sentences of Zhouyi. Secondly, considering the contrasting creation period of Yijing(易經)과 Yichuan(易傳), the study seek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yu’ expressed on each gua. Thirdly, from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the study hypotheses with a prospect for the existence of features in guaxiang which expresses ‘yu’, and therefore the study gives an explanation that classifies ‘yu’ documented in Yijing과 Yichuan. In Zhouyi, there are five guas that express ‘yu’—shikegua(噬嗑卦), bigua(賁卦), fenggua(豐卦), lugua(旅卦) and zhongfugua(中孚卦). In the Yijing, the guas that refer to ‘yu’ are bigua(賁卦), fenggua(豐卦), lugua(旅卦) and zhongfugua(中孚卦). The five guas of Zhouyi posses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yu’ expressed in the five guas of gua xiang and the sentences of Zhouyi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yu’ means prison(監獄), imprisonment(投獄), lawsuit(獄訟), and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 such as murder and high treason(獄事). These concepts deeply relates to a variety of punishments(刑罰). Likewise, there are characteristics connected to the enactment and execution of the politics and criminal law.
    Secondly, the concept of ‘yu’ expressed in Yijing and Yichuan differs in actions and judgments of the late[preceding] king(先王) and the man of virtue(君子). In detail, the administration of the major criminal cases such as murder and high treason is significant in ancient kingdom with its basis in shikegua. Furthermore, the remaining four guas comprise actions and judgments of the military rulers to determine ‘yu’ as well as the decision of the prisoner and the delay of the death penalty. In other words, gua safeguarded and roused over control of the speed and the importance of judgment. This upholds the emphasis on the Confucian respect for human life and prudence and the discernment to punishment decisions rather than strict legal enforcement.
    Thirdly, the word ‘yu’ expressed in the five guas includes the xiangli(象理) of lihuo(離火). The shikegua, bigua, lugua and fenggua include lihuo of xiaochenggua(小成卦). In the zhongfugua, the gua xiang itself develops a big liguagua(大離卦).
    In addition, guaxiang(卦象), which expresses ‘yu’, develops into guaxiang of fanyi(反易) and gua of daodian(倒顚卦) in terms of interpretation methodology. With exception to zhongfugua, gua of jiaoyì(交易) and zenggua(綜卦) are identical in terms of the inclusion of ‘y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