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아와 건축 구조의 위상기하학적 유비(類比, analogy)를 응용한 파빌리온 디자인 제안 (Pavilion Design Application through the Topological Analogy between the Embryo and Architectural Structur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1.04
10P 미리보기
배아와 건축 구조의 위상기하학적 유비(類比, analogy)를 응용한 파빌리온 디자인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3호 / 271 ~ 280페이지
    · 저자명 : 강우석, 채정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모든 동물의 형태는 다양한 분화 과정을 거쳐 복잡한 기관들을 지닌 하나의 개체로 창조된다. 생물체의 형태는 수정란이 수정 직후 분열과 조직화 등의 다양한 상호 작용에 의해 성장하는 기초적 단계를 거쳐 발생한다. 이러한 자연의 모든 대상의 초기 단계에서 형태는 배아 구조와 위상적 동형을 이루고 있다. 이 초기 단계 중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으로 분화되는 상태의 낭배기 단계(囊胚期, gastrula stage)에서 배아는 생명의 각 조직 기관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배아가 성체로 발생하는 과정 동안에 생명의 동력을 위한 기능의 부여, 형태 및 구조의 발생, 그리고 성장을 유발하는 공간과 시간의 종합적 조절 등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 디자이너가 만들어내는 건축물은 배아의 초기 발생 상태와 유사한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다. 건축물의 배아의 창발(emergence)적 과정과 유비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위상기하학적 건축 동향에 따라 변화하는 담론을 심화하기 위한 새로운 사례의 디자인을 진행한다. 현대의 비정형적이고 유기적인 공간을 재현하기 위해 실제로 현대의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생물의 발생적이고 동역학적인 공간 디자인 작품 연구를 진행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배아가 유연하고 확장하는 발생적 매커니즘의 특징을 활용하여 일시적이고 가변적인 파빌리온의 구조를 계획한다. 첫 번째로 발생 생물학적 관점에서 배아의 분화 개념 및 배아의 배엽 형성의 위상기하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고, 건축의 위상기하학적 맥락과 특성을 파악하여 배아와의 유비(類比, analogy)적 개념 요소를 도출한다. 이 요소들을 적용할 파빌리온의 합목적성을 문헌연구를 통해 탐구하고 디자인 적용 단계를 진행한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배아의 구조적 요소를 고려한 외피와 구조, 그리고 내부 공간을 설정하여 형태를 구체화한다. 그리고 분화된 각 배엽 층의 기능적 요소에 따른 공간 물성, 프로그램 및 기능을 대입하여 모델링과 렌더링 결과물을 산출한다. (결과) 본 연구는 동물의 진화 과정에서 공통적 요소를 보이는 배아 구조의 발생 생물학적 의미와 이 중 생명 기관의 최초 창발 단계인 낭배기와 건축적 요소 간 유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비선형적 구조모델, 동역학적 소재, 유기적 공간 프로그램의 기능 등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현대 기술로 생물의 유기적이고 자체적으로 변화하는 유기적 구조를 대입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결론) 이는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형태로서 생물의 외관만을 적용하는 방식의 일차원적 단순성을 지양하고, 생물학에서의 형태 발생, 즉 발생 생물학에 기초한 생물의 자기조직화적 알고리즘으로부터 추출되는 성장, 적응, 진화 매커니즘을 응용하여 건축 자체의 유연한 성질을 지님에 의미가 있다. 더하여, 새로운 현대 공간의 디지털 기술로 이러한 생명의 자체적 적응성을 적용하여 앞으로 생물 발생적 건축의 가능성 확대를 위한 새로운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ll animals are created for individuals equipped with complex organization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process. Living beings’ formation process emerges from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cell division and systematization when the primary embryo stage, which is defined as the topologically same shape. In particular, in the gastrula stage divided into three germ layers known as ectoderm, mesoderm, and endoderm, the embryo is differentiated to each organ.
    During the process from the embryo to maturity, it decisively requires the supply of functions to sustain its life force, which leads to the emergence of the formative structure, the comprehensive space-time control inducing its growth, and so on. After figuring out the an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the primary embryo, it proceeds to study the dynamic spatial design involved with the life force, aiming for the intensification of topological architecture discourse. (Method) This study propels the design of a pavilion in the public space by utilizing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the fluid and replicative embryo. First, after analyzing the initial concept of the embryonic differentiation and formative process with regard to developmental biology, it is investigated for the topological properties of the embryo in the stage to prove that topologically, the torus geometry has the same shape. Second,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embryo’s structure and the space composition of modern architecture deduces the analogical concept. Following the purpose of using the pavilion after the relationship, design application includes structured process experiments for establishing interior, exterior, and connecting space in the pavilion based on the analogical relationship. Material selection on the surface is influenced by dynamics and self-organization features, which results in applying the principle of bimetal, new material to the architecture skin. Lastly, the shape is materialized through the interior program planning, modeling, and rendering with Rhino 3D and Grasshopper. (Results) In conclusion, the result implies that there are common elements among an animal’s embryonic emergence processes regarding the topological perspective. Furthermore, the analogy between biological organism and non-biological structure is practically applied to the pavilion design, which appears to the nonlinear prototype model, kinetic material, and organic space program for another design application. (Conclusions) Instead of the simplicity of the method to copy the appearance of life as a symbolic shape, modern architecture has worked itself through the essential mechanism of biological form and morphogenesis. Thus, due to the new technologies and digital base, it is expected that this independent adaptability of living beings would be used as a new example of the intensified architecture in various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