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igious Topography and Cooperative Activity of Korea and Japan in the 1920s*82 ) : Centered on Omoto and BoCheonKyou)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3.02
36P 미리보기
1920년대 한⋅일의 종교지형과 제휴활동*: 오모토와 보천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34권 / 303 ~ 338페이지
    · 저자명 : 김철수

    초록

    1920년대 일본의 오모토는 1923년 12월에 ‘조선의 보천교와 제휴’를 시작했다. 오모토의 교주 오니사부로의 의도는 1921년 정부로부터 극심한 제1차 탄압을 받은 이후 만교동근(万教同根)의 기본사상에 기초하여 세계 종교단체들과 제휴하면서 교단 의 위상을 높혀 일본정부와 일본사회의 부정적인 민심으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인정 받으려는 것이었다. 조선의 보천교 역시 이 무렵 식민권력으로부터 하나의 종교로 인정 받지 못하고 끊임없이 감시⋅탄압을 받고 있었다. 보천교도 오모토와 제휴 협력을 통해 보편종교, 곧 유사종교가 아닌 기독교와 불교처럼 공인종교로 인정받으려는 노력을 하면서 위기를 벗어나려 했다. 양 교단의 교리에는 친화성이 있었다. 현 질서(미증유의 혼란)의 붕괴와 새로운 세계의 출현(다테가에다테나오시, 개벽)에 대한 갈망이었다. 이에 이르는 과정에는 세 번의 시련(고개, 씨름판)이 놓여 있고, 이를 위해 예정과 실행 프로그램(히나가타, 천지공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아이러니컬하게도 두 교단 모두 당시 정치권력으로부터 심각한 탄압을 받고 있었다. 오모토교는 일본에서 정부에 우호 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 소위 ‘불경스러운’ 단체였고, 보천교 역시 조선독립을 기도하 는 단체로 낙인찍혀 감시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과 조선의 종교교단 간의 제휴 협력도 종교적인 의미를 떠나 정치적 의도를 지니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양 교단의 제휴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제휴는 이루어지지 못했고 1935년의 제2차 오모토교 탄압과 1936년의 차경석 사망으로 양 교단은 해체되는 운명을 맞게 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1920s, the cooperative efforts between Bocheongyo(普天敎) and Omoto(大本), the representative national religions of Korea and Japan, were examined. In December 1923, Omoto started ‘affiliation with Bocheongyo of Joseon’. The intention of partnership cooperation was first on Omoto’s side. The intention of Omoto, was to raise the status of the church by allying with world religious organizations after receiving the first severe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in 1921, and thereby increasing the status of the church in the Japanese government and Japan. It was to escape from the negative public sentiment of society and to b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Bocheongyo in Joseon was also not recognized as a religion by the colonial power at this time and was constantly under surveillance and oppression. Bocheongyo tried to escape the crisis by collaborating with Omoto in an effort to be recognized as a universal religion, that is, like Christianity and Buddhism rather than a pseudo-religion.
    There was an affinity between the doctrines of the two denominations.
    It is a longing for the collapse of the current order (unprecedented chaos) and the emergence of a new world. There are three ordeals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is, and for this purpose, a plan and execution program have been creat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religions in colonial Joseon and Japan that contemplated the way mankind would go and predicted the modern state of panic,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and both denominations were affiliated. And ironically, both denominations were under severe oppression from the political power at the time. Omoto was a so-called “disrespectful” group in Japan that did not take a friendly stance towards the government. Bocheongyo was also stigmatized as a group praying for Joseon independence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was under surveillance. In this situation, the alliance and cooperation between religious denominations in Japan and Joseon could not help but have political intentions apart from religious meaning.
    Despite the efforts of the two churches, full-fledged alliance was not achieved, and both churches in Japan and Korea were destined to be disbanded due to the second suppression of the Omoto religion in 1935 and the death of Cha Gyeong-seok in 1936.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