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효공왕(요)의 출생과 왕실의 인지 시기에 대하여 (tem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07.08
37P 미리보기
신라 효공왕(요)의 출생과 왕실의 인지 시기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30호 / 137 ~ 173페이지
    · 저자명 : 이문기

    초록

    이 논문은 孝恭王(嶢)의 출생과 신라 왕실이 그의 존재를 인지했던 시기 등 효공왕의 시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기초적인 문제에 대해 고증을 시도한 것이다. 새로 밝혀진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치원이 쓴 2종류의 願文을 통해 볼 때, 효공왕(요)의 生母는 父가 伊湌을 지낸 진골 가문 출신으로 願文에서 왕비김씨로 지칭된 존재이며, 효공왕 2년에는 義明王太后로 책봉되기까지 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생모의 신분에 입각하여 효공왕(요)의 신분을 非眞骨로보는 종래의 견해는 성립되기 어렵다.
    둘째, 최치원이 찬술한 「納旌節表」 및 「讓位表」와 『三國史記』 관련 기록을 통해 요의 출생 시기와 경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正妃로부터 嫡子가 없었던 헌강왕은 동 10년(884)에 사냥을 가는 길에 몰락한 진골 출신의 여인 金氏와 野合하였고, 김씨는 곧 잉태하여이듬해인 동 11년(885)에 아들인 嶢를 출생하였다. 그런데 요의 출생 후 1년이 되기도 전인동 12년(886) 7월 5일에 헌강왕이 사거하고 말았다. 嶢는 헌강왕의 유일한 嗣子였지만, 庶子 인데다가 아직 채 돌이 지나지 않은 幼兒였으므로 왕위를 이어받지 못하였다.
    셋째, ‘姪男 嶢’가 언급된 893년(진성여왕 7)에 작성된 「納旌節表」와 891년(진성여왕 5)에작성된 「謝賜詔書兩函表」에 의하면, 신라 왕실이 요의 존재를 인지했던 시기는 891년까지소급 가능하며, 나아가 「납정절표」에서 886년(헌강왕 12) 당시 요의 나이를 돌이 채 되지 않았다고 했으므로, 신라 왕실은 요가 출생한 당시(885년; 헌강왕 11)부터 그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895년(진성여왕 9) 요를 태자로 책봉할 무렵 비로소 신라왕실이 그 존재를 알게 되었다는 기존의 견해는 잘못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o correctly understand the period of King Hyogong, this manuscript attempts historical research on such basic issues as the birth of the king and Silla royal household’s recognition of his existence. Main observat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King Hyogong’s real mother was a woman whose father held true-bone rank and filled the position of ichan, these cond highest official rank in Silla, and who was called “Queen Kim” in records written by the Silla scholar Choe Chi-won. After her son ascended the throne, she was invested with Queen Mother Uimyeong. Therefore, the traditional view that since his mother was of lower status, the king did not hold true-bone lineage is wrong.
    Second, Yo was born and brought up as follows. He was born in 885 as an illegitimate son between King Heongang and a woman who had ruined true-born lineage. When King Heongang died before Yo was one year old, the infant and his mother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to Bulguk-sa temple, and the throne was succeeded by King Jeonggang, King Heongang’s brother, and Queen Jinseong.
    Third, the point of time when the Silla royal household recognized the existence of Yo can be evidenced by diplomatic documents recorded by Choe Chi-won. Since these documents written in 891 and 893 all recorded “Yo, a male cousin,” the royal household might have recognized Yo’s existence at least by 891. It also can be surmised that since these documents recorded Yo’s age as of 886, the royal family might have alread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Yo immediately after his birth. Accordingly, the traditional version that the royal household first recognized the existence of Yo, a bastard of King Heongang, as late as 895, when he was invested with crown prince, is wr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