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산 보원사지(普願寺址) 오층석탑사리장엄(舍利莊嚴) 고찰 (A Study on the Sarira Relics of the Five-Story Pagoda at the Boweonsa Temple Site in Seosa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서산 보원사지(普願寺址) 오층석탑사리장엄(舍利莊嚴)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6호 / 251 ~ 286페이지
    · 저자명 : 신대현

    초록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1968년 해체·수리 과정에서 사리장엄 일체가 발견되었으며, 금동 외함과 내함, 녹유리 사리병, 납석 소탑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외함에 새겨진 연기법송(緣起法頌)과 보살상·승상의 도상(圖像)은 동아시아 불교문화 연구에서 독특한 사례이다. 이 논문은 사리장엄이 가지는 공예사적 가치와 함께, 불교 교리 및 조형미를 분석하여 그 제작 시기와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리 외함은 연기법송과 도상 표현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연기법송은 불교 교리의 핵심을 간결히 요약한 것으로, 의정이 번역한 경전들과의 연관성을 통해 신라 후기~고려 초기로 이어지는 전승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함의 보살상·승상 도상은 수기(授記) 또는 수법(受法) 장면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조형적으로 리움미술관 소장 『화엄경』 변상도 보살상과 유사하여 9세기 중후반~10세기 초의 특징을 보인다. 사리 내함의 사천왕상 역시 연주문(聯珠紋)과 함께 섬세한 장식 기법이 돋보이며, 이는 통일신라~고려 초기에 걸친 공예 양식의 발전 과정을 반영한다.
    사리장엄은 단순히 공양물로서 역할을 넘어, 보원사 오층석탑의 제작 시기와 불교미술적 의의를 탐구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신라 말~고려 초의 석탑 양식을 계승·발전시킨 작품이고, 사리장엄도 이 시기와 근접하고 있다. 사리장엄의 구성 요소와 조형미는 신라와 고려의 양식적 특징이 혼재된 과도기의 산물로 평가되며,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유일하게 금속 외함에 새겨진 <연기법송>은 연구 가치가 높다.

    영어초록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wonsa Temple Site in Seosan revealed a complete set of reliquaries during its dismantling and repair process in 1968. These reliquaries consist of a gilt-bronze outer case, an inner case, a green glass reliquary bottle, and steatite miniature pagodas. Particularly notable are the inscriptions of the Yeonki Beopsong (Verses on Dependent Arising) and the depictions of a bodhisattva and a monk on the outer case, which stand out as unique examples in East Asian Buddhist cultural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iquaries’ artistic craftsmanship, Buddhist doctrinal significance, and aesthetic design to elucidate their production period and historical context.
    The outer case holds significant meaning in its Yeonki Beopsong inscriptions and iconographic elements. The Yeonki Beopsong, a concise summary of Buddhist teachings, is linked to the sutras translated by the monk Uich’ŏng, illustrating its transmission from late Unified Silla to early Goryeo. Furthermore, the depiction of the bodhisattva and the monk is interpreted as symbolizing a scene of either receiving a prophecy (suji) or receiving the Dharma (subŏp). Its stylistic features, resembling those of the bodhisattva image in the Avatamsaka Sutra illustrations housed in the Leeum Museum, are indicative of late 9th to early 10th-century characteristics. The inner case, adorned with Four Heavenly Kings and pearl-like bead patterns, showcases intricate decorative techniques that reflect the evolution of metalwork styles from Unified Silla to early Goryeo.
    Beyond serving as mere offerings, these reliquaries provide critical insights into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agoda and its significance in Buddhist art.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Bowonsa Temple Site is recognized as a transitional masterpiece that inherits and develops the stone pagoda traditions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While scholars generally date its construction to early Goryeo, some argue for its origin in late Unified Silla. The composition and craftsmanship of the reliquaries represent a synthesis of Silla and Goryeo stylistic elements, marking them as products of a transitional era. Notably, the Yeonki Beopsong inscription on the metal outer case, a rarity in East Asian Buddhist history, holds exceptional research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