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브온 족속 이야기의 형성사 연구(수 9:1-27) (A Study on the Formation History of the Gibeonites’Narrative (Josh. 9:1-27))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9
25P 미리보기
기브온 족속 이야기의 형성사 연구(수 9:1-27)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28권 / 3호 / 246 ~ 270페이지
    · 저자명 : 이은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호수아 9장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문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여 이 본문의 초기 전승을 찾아보고 최종 형태에 이르기까지의 편집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 본문에는 이야기의 흐름이 어색하거나 내용이 반복되거나 논리적으로 단절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난다. 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본문에 나타나는 기원론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고, 오경의 자료를 찾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고, 다양한 편집층을 찾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고, 고고학적인 연구를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이 본문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며 최근의 연구 동향을 고려하여 이 본문에 나타나는 기원론의 형태는 무엇이고 여기에 다양한 편집층들이 어떤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추가되어 이 본문이 형성되었는지를 추적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이 본문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음을 밝힌다. 첫째, 이 이야기는 기브온 족속이 이스라엘의 족장들과 조약을 맺었다는 초기 구두전승에서 발전했다. 둘째, 기브온 족속과의 조약을 통해 주변 세력을 흡수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민족의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요시야 시대의 신명기적인 편집자가 기본적인 문서설화를 형성했다(수 9:3, 6, 11-13, 15a). 셋째, 이 기본 설화에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고 야훼의 명예 회복을 강조하는 바빌론 포로기의 편집층(수 9:1-2, 9b-10)이 결합하여 여호수아 전체 설화와 신명기 역사와의 연결을 시도했다. 넷째, 바빌론 포로 이후 예후드 공동체의 이방인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여 기브온과의 조약을 그들의 꾀에 속아서 맺은 부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신명기적인 편집층(수 9:4-5, 7-9a, 14, 16-17, 22-24)이 첨가되어 그들이 성전 노예 신분으로 강등되었음을 강조한다. 다섯째, 포로 이후의 제사장적인 편집자는 이방인들을 성전에서 일하는 종들로 표현한 것을 불편하게 느끼고 예루살렘 성전의 거룩성을 옹호하기 위해 이들을 성전이 아닌 회중들을 위해 일하는 자들로 수정하며 이들과 맺은 조약의 책임이 여호수아가 아니라 백성의 족장들에게 있었다고 진술한다(수 9: 15b, 18-21). 여섯째, 제사장적인 편집과 신명기적인 편집 사이에 일어나는 충돌을 절충하고, 종합하여 기브온 족속이 백성의 회중들뿐 아니라 성전의 제단을 위해서도 일하는 종이었다고 진술하며 헤렘을 적용해서 그들을 죽이지 못하도록 금하며 그들을 공동체의 일부로 받아들일 것을 강조하는 신명기적인 최종 편집층이 추가되었다(수 9:25-27). 이를 통해 신명기적인 편집이 요시야 시대뿐 아니라 바빌론 포로기와 포로 이후에도 지속해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사장 그룹에서도 신학적 필요에 의해 이 신명기적인 편집층에 반박하며 편집적 첨가를 시도한다. 물론 두 그룹 간의 차이를 절충하고 조화하려는 최종적인 편집 시도가 본문에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ext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that appear in Joshua 9, find the early tradition of this text, and trace the editing process up to the final form. Various problems appear in this text, such as the flow of the story is awkward, the content being repeated, or being logically disconnected. To solve this problem, scholars paid attention to the etiologies in this text, tried to find the sources of the Pentateuch, tried to find various editorial layers, and conducted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is thesis, the author pays attention to various issues appearing in this text, and tries to trace, in consideration of recent research trends, what the original form of the etiologies appearing in this text is, and what kind of editorial layers were incorporated whilst keeping in mind the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reveals that this text was form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story developed from an early oral tradition that the Gibeonites made a treaty with the chieftains of Israel. Second, a Deuteronomic editor in Josiah's era, who wanted to achieve national unity by absorbing neighbouring powers and expanding the territory through a treaty with the Gibeonites, formed a basic documentary narrative (Joshua 9:3, 6, 11-13, 15a). Third, the editorial layer of the Babylonian exile (Joshua 9:1-2, 9b-10), which emphasizes the restoration of lost territory and Yahweh's honour, was combined with this basic story to connect the entire story of Joshua with the Deuteronomic history. Fourth, after the Babylonian captivity, reflecting the attitude of the Yehud community toward the Gentiles, a Deuteronomic layer evaluated the treaty with Gibeon as a negative one made by deceiving them by their schemes (Joshua 9:4-5, 7-9a, 14, 16- 17, 22-24) is added to emphasize that they were demoted to temple slavery. Fifth, the post-exilic priestly editor felt uncomfortable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Gentiles as servants in the temple, and in order to uphold the holiness of the temple in Jerusalem, modified them to be those who worked for the congregations rather than the temple. It states that it was not Joshua but the chieftains of Israel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treaty with the Gibeonites (Joshua 9:15b, 18-21). Sixth, the final Deuteronomic editorial layer, negotiating and synthesizing the conflict between the priestly edition and the Deuteronomic edition, stating that the Gibeonites were servants not only for the congregation of the people but also for the altars of the temple, forbidding the Israelites from killing the Gibeonites by applying the Herem, and emphasizing to them to accept them as part of the community, was added (Joshua 9:25-27).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uteronomic editing was continuously made not only in the time of Josiah but also in the Babylonian exile and after the exile. The priestly group also tried to add a redactional layer to refute this Deuteronomic editorial layer for their theological purpose. Of course, it can be seen that the final editing attempt to compromise and harmo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s reflected in the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