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易』으로 해석한 고구려의 祭天儀禮와 三足烏 (Philosophical study of Heaven-Worshipping Rites and Samzoko of Koguryo based on the I-Ch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8.09
31P 미리보기
『周易』으로 해석한 고구려의 祭天儀禮와 三足烏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7호 / 379 ~ 409페이지
    · 저자명 : 임병학

    초록

    본 논문은 동북아 고대의 근원적 사상을 담고 있는『 주역』을 바탕으로 고구 려의 제천의례와 삼족오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주역』은 천도(天道) 운행의 원리와 인간 삶의 깊은 이치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천 년 동안 동북아 의 문화 발전 과정에서 가장 근원적인 학문이다.『 주역』이 점서(占書)라는 의미 도 새롭게 이해해야 한다. 점(占)이나 무(巫)의 한자 속에는 벌써 하늘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의미가 들어 있다. 고대사회는 물론이고 지금의 제천의례는 모두 하늘의 뜻과 소통하고자 하는 인간의 행위이다. 제례(祭禮)와 복서(卜筮)는 하늘 과 인간의 소통이라는 입장에서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대의 제천의례 는 천명(天命)을 받은 후손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주역』의 천명사상에 근거한 것이다.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것은 천명(天命)에 순응하는 것이자, 바 른 정치를 행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 모신 제(帝, 天神)와 지신(地神, 社稷)은『 주역』의 여러 곳에 밝힌 것으로 역학적(易學的)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또 고구려의 제천의례 에서 행한 집단 무도(舞蹈)는 ‘북치고 춤추는 행위를 통해 하늘의 신명(神明)을 다한다.’는「 계사상」의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 특히 제천의례에서 희생(犧牲)으 로 사용된 돼지는『 주역』에서 하늘의 뜻을 대행하는 감괘(坎卦)를 상징하고 있 다. 즉, 돼지는 하늘의 뜻을 상징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제사에 사용된 것이다. 고구려의 제천의례에서는 돼지와 사슴을 함께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통해 돼지만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으로 고구려의 삼족오와『 주역』의 역도(易道)에서는 삼족오는 새로 하늘의 소 리를 전하는 천사(天使)이기 때문에 인류 역사에서는 성인(聖人)을 상징한다고 하겠다. 또 삼족오와 두꺼비가 같이 등장하여 일월의 음양원리를 담고 있으며, 삼족오가 해 가운데 존재하여 그 자체적으로 음양의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삼 족오의 삼(三)은 하늘의 수로 세상의 모든 이치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주역』 의 삼재지도(三才之道)를 그대로 상징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Koguryo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amzoko based on the I-Ching which contains the ancient ideology of Northeast Asia. I-ching is the most fundamental academic discipline in Northeast Asia's cultural development process for thousands of years because it has a deep sense of human life and the principle of the running on the way of Heaven. The meaning of the divination book about I-Ching must also be understoo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n the Chinese characters of divination(占) and shaman(巫), there is already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As well as the ancient society, mordern Jecheon rituals also are all human’s acts to communicate with the will of heaven. The ritual, divination, and the exorcism have a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 Ancient Heaven-Worshipping Rites ar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chosen people of I-Ching as a confirmation that the priest is a descendant of the heavenly. It means that rite for heaven is to conform to God's will and to do the right politics.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the god of the sky and the god of the earth are revealed in many places in I-Ching , and it is possible to be interpreted into I-Ching order. The group dance performed at Heaven-Worshipping Rites in Goguryeo is consistent with I-Ching doctrine of "responding the god of heaven through dancing and drumming." Especially, the pig used as a sacrifice in Heaven-Worshipping Rites symbolizes the the Kan(坎) Trigram that deputize for heavenly will in I-Ching . In other words, pigs are traditionally used for sacrifices because they symbolize the will of heaven. In the Heaven-Worshipping Rites of Goguryeo, we understand that pigs and deer are used together as sacrofices, but we can see that we only used pigs through Samguksagi and Samgukyusa . Next, in Samzoko of Goguryeo and in the logic of I-Ching , Samzoko is a messenger bird of the command of heaven, so it is said to symbolize a saint in human history. In addition, the Samzoko and the toad appear together in Goguryeo tomb murals and contain the yin and yang principles of the lunisolar, and the Samzoko is in the middle of the sun and represents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tself. The three of the Samzoko are symbolic of Samjaejido of I-Ching because it is the base of all the things in the world as the number of the sk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