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동리 문학의 바이오 휴머니티 (Biohumanity in Dong-Ree Kim's Short Stor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2.03
20P 미리보기
김동리 문학의 바이오 휴머니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권 / 1호 / 7 ~ 26페이지
    · 저자명 : 권택영

    초록

    본 논문은 김동리의 대표 단편 들 속에 나타난 공통된 징후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이오휴머니티” 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하려는 연구이다. 데카르트의 주체는 근대 이후 인본주의의 출발이었다. 인간의 사유를 객관적이고 절대적으로 규정한 그의 철학은 동물과 자연을 재현의 대상으로 삼고 기술과학의 무한한 발달을 통해 찬란한 문명을 이룩한다. 그러나 그사이에 자연은 개발의 대상으로 전락하여 오염되고 인간과 동물, 식물, 무생물의 관계는 유리된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자연의 복수를 조금씩 체험하고 있다. 김동리는 거의 한 세기 전에 이미 기술과학의 병폐를 인식하고 자연과 문명이 어떤 관계를 이루어야 평화와 공존이 가능한지 모색하였다. 그는 서구의 합리주의에 대해 저항했던 니체, 하이데거, 토마스 만의 인문학에 심취하면서 동시에 한국인으로 풍속적 믿음체계, 음양의 도사상, 불교를 자연스럽게 체득한다. 근대의 메마른 인간중심 합리주의를 고대 자연철학과 연결하여 사유한 그는 자신의 사상을 “구경적 문학,” 혹은 “제삼의 휴머니즘”이라 이름 붙인다. 그리고 문명과 자연의 갈등관계를 작품속의 인물이 보여주는 본능적 갈구와 사회적 요구 사이의 갈등으로 재현한다. 혼인제도, 근친상간, 죽음충동 등의 주제는 샤머니즘. 기독교, 불교, 도사상등과 어우러지고 문학과 현상학의 경계도 무너진다.
    등신불과 예수의 처형을 극화한 부활을 대조하여 불교와 기독교의 소통과 조화를 모색한 그는 음양이 조화를 이루듯이 인간이 대상(타자)과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한다는 것을 여러 가지 다른 징후들로 재현하였다. 이런 작품세계는 인간을 다시 동물과 자연 속에 위치시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고 실패와 비극적 결말을 넘어서는 길을 암시한다. 인간은 동물이면서도 동물이 아니다. 그러기에 진화는 그리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 여기에서 김동리 문학을 “바이오휴머니즘”이라는 간결하고 분명한 용어로 다시 규정해본다.

    영어초록

    Many critics have positioned Dong-Ree Kim in the tradition of Korean Shamanism, particularly exploring the conflict between two oppositional thoughts of Eastern mysticism and Western rationalism, the value of aesthetics, and even the realist vein of his literature. On the contrary, this paper explores Kim's short stories in light of the new paradigm of ecology promoting the subversion of the boundaries of human and nonhuman world. For this purpose, I will investigate three dominating tendencies, or patterns occurring in his fiction. First, Lee's stories featur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oppositional ideologies whether they are religions, or philosophy, and the ensuing defeat of his characters after their obsessional self-assertion. Second, I will examine the recurrent theme of incest throughout his stories, which simultaneously provokes a negative reaction and sympathy from the reader. Third, his stories also evoke the uncanny feeling due to the strange mixture of opposite desires such as the life impulse with the death drive,─ the desire of self-preservation and self-destruction,─ to borrow from Sigmund Freud. My investigation concludes with one significant point that most of characters end up in tragedy because of these three conflicts.
    Furthermore, exploring the reason for the tragic ending explained in the above, and attempting to find the ways we avoid this tragedy, I examine the complexity of Darwinian evolution in relation to Lee's fiction. For instance, his stories lend themselves to the question of how human life can coexist with nature. Why does mankind alone exploit nature? Animals are trapped into neither the fantasy of an object nor the excess of greed. In fact, Darwin's evolutionary theory itself has a conflict in proportion to the conflicts in human life portrayed in Kim's stories. In this context, I suggest the best way to reduce human sufferings and the tragedy of the Mother-Earth is that we need to accept the Other in order to live in accordance to the cycle of nature and yin-yang harmony. Hence, the formular of Kim's third humanism can be reinterpreted to the Biohumanism in the vein of the new paradigm of ec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