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草廬 吳澄의 역학사상에 대한 陽村 權近의 수용과 비판 연구 (A Study on YangChoun(陽村) Kwon Geun(權近)’s Acceptance and Criticism of Caolu(草廬) Wu Cheng(吳澄)’s Dynamic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3.05
21P 미리보기
草廬 吳澄의 역학사상에 대한 陽村 權近의 수용과 비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9호 / 157 ~ 177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본 논문은 吳澄의 역학이 權近의 역학에 어떻게 수용되고 비판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오징이 가장 얻은 것이 많았다는 『易纂言』과 권근의 『入學圖說』·『周易淺見錄』에 관하여 비교⋅고찰한 것이다. 그리고 오징의 『역찬언』은 권근이 『주역천견록』을 집필하게 된 직접전인 원인이 되었다.
    권근의 역학에서는 오징의 體用論이 朱熹의 입장을 이어받았으므로, 권근 역시 『입학도설』의 『周易』관련 「圖說」에서 체용론의 입장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권근만의 독창적인 체용이론도 보인다. 또한 권근은 『주역천견록』에서 오징의 견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그의 해석을 따른 부분이 많이 있다. 그러나 권근은 오징이 象에 대한 해석을 잘못했거나 『주역』 經文의 글자를 고치거나 異端에 빠졌다고 비판도 하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권근은 오징의 역학에 대해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권근이 오징의 『역찬언』에 대해 수용도 하고 비판도 한 측면은 후에 정약용의 『易學緖言』 「吳草廬纂言論」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권근의 입장은 정약용에 앞서 오징의 역학을 수용⋅비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how Wu Cheng(吳澄)’s Yixue(易學) was accepted and criticized by Kwon Guen(權近)’s Yixue(易學) was examined. That is, Iphakdoseol (『易纂言』) from which Wu Cheng(吳澄) gained most and Kwon Guen(權近) Iphakdoseol (『入學圖說』)⋅Jooyoekcheonngyeonrok (『周易淺見錄』). Therefore, Wu Cheng(吳澄)'s Yizuanyan (『易纂言』) seems to have been a direct reason for Kwon Guen(權近)’s writing of Jooyoekcheonngyeonrok (『周易淺見錄』).
    As for Kwon Guen(權近)’s Yixue(易學), as Wu Cheng(吳澄)’s Ti-yong(體用) theory had succeeded ZhuXi(朱熹)’s position, Kwon Guen(權近) also wrote “Tushue”(「圖說」) regarding Zhouyi (『周易』) in Iphakdoseol (『入學圖說』) from the stance of Ti-yong(體用). In Jooyoekcheonngyeonrok (『周易淺見錄』), Kwon Guen(權近) had a positive viewpoint of Wu Cheng(吳澄)’s opinions and followed his interpretations in many parts. Yet, he criticized that Wu Cheng(吳澄)’s interpretation of Xiang(象) was wrong, that he changed letters in the scriptures of Zhouyi (『周易』), and that he fell into heresy. From which, it’s been found out that Kwon Guen(權近) tried to have an objective view of Wu Cheng(吳澄)’s Yixue(易學).
    Kwon Guen(權近)’s acceptance and criticism of Wu Cheng(吳澄)’s Yizuanyan (『易纂言』) was later led to Jeong Yak-Yong(丁若鏞)’s “Wucaoluzuanyanlun”(「吳草廬纂言論」) in Wu Cheng(吳澄). Accordingly, Kwon Guen(權近)’s stance was meaningful in that he accepted and criticized Wu Cheng(吳澄)’s Yixue(易學) before Jeong Yak-Yong(丁若鏞).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