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 종교로서 불교와 유교 관련 옛 한글 문헌 글자체의 특징과 양식 연구 - 15-17세기 관련 경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s of Hangul types in Old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Traditional Religion - with a focus on the related scriptures from 15-17th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6
13P 미리보기
전통 종교로서 불교와 유교 관련 옛 한글 문헌 글자체의 특징과 양식 연구 - 15-17세기 관련 경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3권 / 3호 / 235 ~ 247페이지
    · 저자명 : 유정숙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기 주요 종교였던 불교, 유교 관련 옛 한글 문헌의 글자체와 양식 특징을 살펴디자인 관점에서 전통문화 양식으로서 한글 글자체 역사의 새로운 지식과 이론적 토대 기반 구축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15-17세기 불교와 유교의 정통성을 이어받고 두드러진 보급을 이룬 5개문헌(불교; 1463『법화경언해』, 1464『금강경언해』, 1687『은중경언해』, 유교; 1590『대학언해』, 1695『중용언해』)을 선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15세기 불교 경전은 목판본으로서 창제기의기하학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미세한 돌기(Serif)가 판각을 통해 아주 미미하게 드러났다. 특히 본문에가로 폭이 좁혀진 장체 특징의 한글 글자체의 등장과 아래아 방점(⚫)이 붓 필획의 내리점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17세기 문헌에서는 가로 폭이 넓은 평체 특징의 글자체와 18세기 이후 등장하는<민체>양식의 특성이 나타났다. 유교 경전에서는 활자본임에도 정사각형의 글자 폭을 유지하고 구체적인 붓 필획의 특징으로 특히 시옷(ㅅ)의 형태가 중간 점 갈래 시옷으로 변화하였다. 이들은 아직 정형화된 <궁체> 양식은 아니지만 그 과도기적 형태로 나타났다. 이렇게 우리나라 초기 불교와 유교관련 옛 한글 문헌에서는 창제기의 기하학적인 <훈해체>양식에 이어 또 하나의 새롭게 등장한 <훈언체>양식을 형성하였고 아울러 붓 필획을 통한 부드러운 <궁체> 이전의 과도기적 특징의 양식으로의 변화가 파악되었다. 정치와 문화적 의미를 담은 상징적 산물로써 한글은 종교의 사회적 소통기능아래 초기 한글 양식의 변화를 이루었음을 살펴본 이 기초연구는 한글 양식의 형성과정에 중요한 역사적 이론적 토대이자 이어 후속 연구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style of Old Hangul types in Buddhist and Confucian literature from the traditional era in the hopes of uncovering details in the design of historical Hangul types and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m as a par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Five authentic, widely distributed Buddhist and Confucian texts from the 15th to 17th century have been selected for analysis. Woodblock-printed copies of the 15th century Buddhist texts <Beophwagyeong eonhae>(1463) and <Geumganggyeong eonhae>(1464) retained the geometric form of typefaces from around the time when the Korean alphabet Hangul was created, but the engravings revealed subtle signs of serif. A narrow, condensed type was used in two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text’s content. The vowel arae-a (⚫) transformed into a slanted dot resembling the tip of a calligraphic downstroke. On the other hand, 17th Century, <Eunjunggyeong eonhae>(1687) featured a wider expended Width within an uneven typeset and hinted at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minche> that emerged beyond the 18th century. Unlike Buddhist texts, the printed copies of the 16th to 17th century Confucian texts <Daehak eonhae>(1590) and <Jungyong eonhae>(1695) exhibited distinct serifs. Even widths were maintained through square-like and the second of the two strokes shaping the consonant sieut (ㅅ) began slightly below the head of the first stroke. Although the texts were not in a typical <Gungche> style, they did seem to have been from the early stages of a transition to the style.
    The types in 15th to 17th century Korean texts on Buddhism and Confucianism displayed the geometric <Hunhaeche> style from the period when Hangul was created, the newly emerging <Huneonche> style, and a transitional style with curved strokes that preceded <Gungche>. As a symbolic product with cultural, political significance, types have had a impact on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Hangul styl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academic, educational resource. It will also be a useful resource fo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religion and old Hange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