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이 죽음을 사유하는 방식 - 오정희의 「옛우물」, 김훈의 「화장」, 배수아의 「시취」를 중심으로 - (How the death is contemplated in novels - focused on Old Well, Cremation, and The Smell of a Dead Bod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1.04
27P 미리보기
소설이 죽음을 사유하는 방식 - 오정희의 「옛우물」, 김훈의 「화장」, 배수아의 「시취」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34호 / 341 ~ 367페이지
    · 저자명 : 허명숙

    초록

    이 논문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사회적 참여와 개체의 단독성 사이의 적응과 부적응의 낙차에서 발생한다는 관점에서, 오정희의 「옛우물」(1994), 김훈의 「火葬」,(2004), 배수아의 「시취」(2006) 들에 나타난 죽음의 표상과 죽음에의 참여 방식을 분석하였다.
    오정희의 「옛우물」은 옛우물의 회상과 연당집의 관조를 통해 ‘부재의 부재’라는 죽음의 난제를 해결하고, 개체의 죽음을 자연의 회생과 순환의 서곡으로 상상하는 불멸의 신화에 참여함으로써 죽음에 적응해 간다. 김훈의 「화장」은 죽어가는 자의 고통과 현대 사회가 죽음을 처리하는 방식에 대한 부적응을 통해 不淨의 공포를 보여준다. 주검과 시취에 대한 이미지를 생명=미에 대한 상상과 병치시킴으로써 부정의 공포를 극복하고자 한다. 배수아의 「시취」(2006)는 외적 세계와 자발적으로 소통을 단절한 폐쇄적 자아가 성찰하는 육체적 노쇠와 의식의 불안을 통해 죽음에 참여하는 실존 상태를 묘사해 나간다.
    세 편의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죽음에의 참여는 종과 사회가 길들이는 죽음에 대한 부적응에서 출발하여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이해에 대한 개인적 공감의 접점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is based on the view that perception on death is generated in differences between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with regard to social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singularity. It will focus on analyzing the symbol of death and the way of participating in death in Old Well (1994) by Jeong-hee Oh, Cremation (2004) by Hun Kim and The Smell of a Dead Body (2006) by Su-ah Bae.
    Jeong-hee Oh’s Old Well resolves the touch question of death summarized as ‘absence of absence’ through the use of relocation that starts with an old well and an illustration that contemplates Yeondangjip. It adjusts to death by participating in the myth of immortality where an individual death is assumed as an overture of revival and circulation of the nature. Cremation by Hun Kim shows the pain of a dying person and maladjustment to the way that the contemporary society handles death. As it juxtaposes the image of a corpse and the stench of a dead body with the imagination that life equals beauty, it attempts to overcome the fear of impurity. The Smell of a Dead Body (2006) by Su-ah Bae portrays a close-minded self who tries to adjust to death by oneself. He shows self-reflecting senility and spiritual anxiety as the existence that participates in dea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texts, it has been found that participation in death starts with the maladjustment to death as domesticated by the species and the society and that it leads to a process of finding a point of contact with individual sympathy for social understanding about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