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 연구 - 「옛 우물」과「동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Rituality Shown in Oh Jeong - hui's Novels - Focusing on 「Old Well」 and 「Bronze Mirror」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 연구 - 「옛 우물」과「동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9호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이가원

    초록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에 관한 연구이다. 문학은 인간 삶의 반영이므로 작품 속에서도 죽음의 문제가 자주 다루어진다.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유한한 존재임을 알면서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의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오정희 소설의 인물들은 유난히 죽음을 민감하게 느끼고, 삶과 공존하는 죽음에 대해 예민하게 의식한다. 그들이 느끼는 죽음은 ‘단순한 두려움’이나 ‘더 이상의 것은 없는 마지막 과정으로서의 죽음’이 아니라 ‘삶과의 경계가 모호한 지점에 있는 죽음’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오정희 소설에서 삶과 죽음은 대조적인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입으로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의 형상 우로보로스(Ouroboros)처럼 서로의 끝을 물고 있는 아이러니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오정희 문학에 담긴 신화적 상상력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정희 소설의 한 특징을 작품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으로 보고, 구체적인 재현 양상을「옛 우물」과「동경(銅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신화로부터 시작되어 현대 소설로 이어지고 있는 신화적 상상력의 구현을 확인하고, 오정희 소설이 지니는 문학적 원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오정희 작품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이 세밀한 묘사와 인물의 내면의식 세계에 대한 천착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on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rituality that were shown in Oh Jeong-hui's novels. Oh Jeong-hui's works are contained keen insight into human existence. This insight into a human being is being indicated as the investigation into the world of inner consciousness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What this study aims to take note is the death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Oh Jeong-hui's novels. A person is the finite existence in which anybody is before death. But most people are living with failing to realize death. However, the characters in Oh Jeong-hui's novels respond exceptionally sensitively to death. That is because the death of being felt by them is the 'death at the point with the ambiguous boundary with life,' not the death as the last process that has no simple fear or nothing more. In other words, the life and the death in Oh Jeong-hui's novels show paradoxical logic as saying that life and death are biting the mutual end like Ouroboros, which is a shape of a serpent that is eating its own tail with own mouth, not what is contrasting. This originates from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is contained in Oh Jeong-hui's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about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rituality that were shown in「Old Well」and「Bronze Mirror(銅鏡)」with having regarded one characteristic in Oh Jeong-hui's novels as archetypal symbolism and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were shown in works. Through this, it can be known how author Oh Jeong-hui's mythological imagination is being indicated in her novels with figuring out the aspect of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has been continued in modern novel with beginning from my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