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과 교육 방향 (Aspects of Folk Stor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Educational Guidan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12
25P 미리보기
한국어 교재의 옛이야기 수록 방식의 문제점과 교육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38권 / 6호 / 109 ~ 13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자

    초록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옛이야기 양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옛이야기의 한국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옛이야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는 텍스트일 뿐 아니라 교육적 쓰임새에 맞게 고쳐쓰기가 가능한 구비문학이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옛이야기의 ‘구술성’은 실질적인 의사소통 능력 함양에 교육적 활용도가 높다. 또한 현재의 상황에서 말로 실연(實演)되기 때문에 이야기 속의 전통문화와 구술의 현장에 반영된 현대문화를 모두 학습할 수 있는 좋은 텍스트이다. 뿐만 아니라 옛이야기의 보편성은 외국인 학습자의 흥미유발과 능동적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교재의 상당수가 옛이야기의 교육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옛이야기가 무엇인지 그 개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조차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옛이야기 텍스트가 대부분 한국의 아이들을 위해 쓰여진 전래동화 텍스트를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고, 그조차 우리 옛이야기의 원형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각색된 이야기라는 점이다.
    우리 옛이야기의 교육적 장점을 살려 언어와 문화 교육을 통합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우리 옛이야기를 아동을 위한 동화의 틀에 가두지 말고 온전한 모습의 우리 옛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의 각 단계에 맞게 ‘고쳐쓰기’가 필요하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옛이야기를 훼손하지 않아야 하고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셋째, 옛이야기는 그 본질적 특성인 ‘구술성’을 활용하여 언어와 문화교육을 통합한 교수 학습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s of folk stories col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aims to suggest how to use Korean folk storie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lk stories have various advantages over other literary works, not only because they are perceived easy or interesting by those who want to learn Korean, but also because they are ‘oral literature’ which can be easily modified for diverse educational purposes. The ‘orality’ of folk stories plays an efficient role in improving storytellers’ communicative skills. Also, folk stories become a good collection of text combining traditional culture melted in the original stories and contemporary culture reflected at the moment of storytelling. Besides, the universal features in the stories stimulate the language learner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in a new language learning process. Above mentioned educational values can be realized when the folk stories are rewritten and fit into the educationally appropriate teaching stages.
    Regardless of those remarkable values of the Korean folk stories,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folk stories are not fully used in reality. It even seems that the concept of the folk stories is not clearly defined. Currently circulating textbooks simply borrow conventional fairy tales formulated for the taste of children. It limit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our folk stories and sometimes it even damage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folk stories.
    It is very necessary to plan a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which can integrate language and culture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merits of folk stories. In order to do so, first of all, we should be able to approach folk tales as literary works rather than framing them as children's simple fairy tales. Second, folk stories need to be modified to fit in adequate language teaching steps. In doing so, the authenticity of the stories should be well preserved. The source of the stories need to be identified. Third, the essential feature of folk stories, orality, should be emphasized to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tegrating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