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글 옛 글자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3) -15-20세기 옛 문헌에 따른 복원 옛 활자체 개발 현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Old Hangul Typefaces(3)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Status of Revived Old Typefaces from 15-20th Century Literatur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8
14P 미리보기
한글 옛 글자체의 발굴과 개발에 관한 연구(3) -15-20세기 옛 문헌에 따른 복원 옛 활자체 개발 현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8권 / 4호 / 219 ~ 232페이지
    · 저자명 : 유정숙

    초록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전 아래 대략 6,000종 이상의 다양한 한글 활자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이 남긴 옛 문헌을 통해 한글문화의 전통성과 정체성을 살려 나가기 위한 옛 활자체 개발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민관을 막론하고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한 한글 옛 활자체의 개발 현황과 그 사례고찰을 통해 미래에 상응하는 개발 제안을 모색하여, 21세기 정보사회에서 옛 한글 문화를 구축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 대표 4개 활자개발회사와 2개 공공기관을 선정, 지금까지 개발된 옛 활자체 현황 및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보유 한글 활자체 (±)736종 중 옛 활자체의 보유율은 4%(27여종)의 아주 저조하고 침체된 개발로 파악되었다. 이와 함께 국제화시대에 상응하는 옛 활자체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한글 옛 활자체에 대한 조형적인 연구와 보다 확장된 기술적 개발은 민관을 막론하고 지속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시대적 과제로,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의 디지털 기술 환경에 부응하는 복원 옛 한글 활자체 개발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우선 옛 문헌에 있는 글자체의 조형적 특성을 가독성과 판독성을 바탕으로 최대한으로 복원한다. 둘째, 시대적으로 혼합조판을 고려한 통일된 특성의 다국어 활자체의 개발 지원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가로조판 및 전통적인 세로조판의 기술적 완성과 확장 한글 지원 환경을 구축한다. 넷째,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활자가족을 구성한다. 다섯째, 학제간의 확장된 연구 및 개발을 구축한다. 이를 바탕 한 활발한 옛 활자체의 개발을 통해 우리시대 및 미래에 상응하는 새로운 문화적 콘텐츠로서, 또한 역사적 자료 정립의 일환으로서 옛 한글 문화의 확장을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Evolving digital technologies today have enabled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Hangul typefaces that roughly amount to more than 6,000 different kinds. Yet, it is difficult to witness typefaces in old Korean literature being studied in-depth or developed to preserve the Korean alphabet Hangul’s cultural heritage and identity founded by our ancestor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review cases of old Hangul typefaces being developed through digital technologies and thereby make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forming a culture for old Hangul typefac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formation society. For this study, four leading type design companies and two public agencie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their cases of old typeface development. The analysis found that old typefaces accounted for a mere 4% (approximately 27 typefaces) out of the 736 or so different Hangul typefaces developed by the companies or agencies. It also revealed the need to develop old typefaces that better suit today’s age of internationalization. Henc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old Hangul typefaces so that they may meet the demands of the twenty-first century’s digital technology-based environment. First,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angul typefaces in old Korean literature needs to be revived as much as possible with legibility and readability. Second, considering the trend of mixed typesetting, an environment needs to be established for developing and supporting typefaces with characteristics common across multiple languages. Third, the technical perfection of horizontal typesetting as well as traditional vertical typesetting should be encouraged. Fourth, type families need to be formed for their efficient use. Fif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needs to be attempted. Based on these suggestions, actively developing old Hangul typefaces should be able to help them sustain their role in our future as an evolving part of Korean culture and also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and study of historical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