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홀로코스트 동화 -영화 <옛날 옛적 독일에서는…>의 서사 분석- (Holocaust Fairytale - Holocaust Film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8.04
24P 미리보기
홀로코스트 동화 -영화 &lt;옛날 옛적 독일에서는…&gt;의 서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9권 / 1호 / 339 ~ 362페이지
    · 저자명 : 이승진

    초록

    본 논문은 2017년 독일에서 제작된 홀로코스트 영화 <옛날 옛적 독일에서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본 논문이 이 영화에 주목하는이유는 이 영화가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자들에 대한 영화라는 점에서는 앞선 홀로코스트 영화들과 일맥상통하면서도 영화의 제목 <옛날 옛적…>이 시사 하듯이 동화라는 장르 형식을 차용하면서 홀로코스트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동화(또는 민담)는 “신기한 사건과 비현실적인 상황을 다루는 짧은이야기”로 정의된다. 이러한 정의에 맞게 이 영화의 서사는 뛰어난 “재담(才談)기술로 작센하우젠 유태인 강제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다비드 베어만 David Bermann의 믿기 어려운 이야기를 주 서사로, 그와 함께미국으로 이주할 돈을 모으기 위해 ‘자수품 판매업’을 같이 하는 유태인 동업자 6명이 나치스 치하에서 살아남은 이야기를 지선(支線) 서사로 활용하고 있다.
    이 영화는 수용소에서 나치스에 부역해 살아남았다는 오해를 받는베어만에 대한 심문극의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주 서사로 기능하는 베어만 스토리는 이 심문에 대한 대답의 형태로 서술된다. 이 과정에서심문은 지속적으로 스토리를 생산해내는 ‘영화 속 스토리 생산 장치’라는 기능을 행한다.
    이 영화가 기존의 홀로코스트 영화와 구별되는 또 다른 점은 유태인수용소의 참상 등 과거에 대한 회상장면에서도 영상을 통한 재현을 자제한다는 점이다. 특히 추억이나 회상 등 과거에 일어난 일을 묘사할때 주로 사용되는 플래시 백 기법이 이 영화에서는 매우 제한적으로만사용된다. 동화가 이야기라는 청각 정보를 소통의 수단으로 삼듯이 이홀로코스트 동화는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눈이 아니라 귀를 통해 주인공들이 유태인 수용소에서 겪은 참상을 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영화 <옛날 옛적 독일에서는…>는 동화 장르를 차용해 베어만과 6 명의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를 특수한 이야기가 아닌 누구나 겪을 수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로 변모시키면서 홀로코스트의 반복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홀로코스트 동화 <옛날 옛적 독일에서는…>은 홀로코스트 권태를 극복하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에 대해말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영화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a german film <Once Upon a Time in Germany…>, which was produced in Germany in 2017. The reason is that this is a film about the survivors of the Holocaust, but as the title of the movie "Once Upon a Time…" suggests, it is the first time in Holocaust film history that it borrowed genre fairytale.
    What makes this movi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Holocaust movies is that it does not try to reproduce of past, that they have experienced, even when they are talking about the survivors. Of course, it is a movie, but the movie appeals to the ears rather than the eyes of the audience. Unbelievable episodes are transmitted to the audiences' ears through the mouths of characters. This characteristic is not irrelevant to the fact that the film has accepted the form of fairy tales.
    The main story of this film is summarized as "a surviving story" of David Bermann, The story of this Berman is the central narrative, and the story of his six people is linked to the epic line of narrative In addition, the film uses the interrogation as a device to produce the story. And the fact that all of the stories expressed through it are in the form of a fairy tale that tells about what happened in "olden days in Germany". It make the audience suspect, that it does not have the impure intent to replace it with a fairy tale that no longer exists. But as the story of Cinderella becomes a transcendental educational story, the moment the story becomes a form of fairy tale, the story becomes universal and, as a result, It is not Germany, nor is it the old days. At this point in time, it can repeat and repeat anywhere in the world.
    In this way, the Holocaust film <Once upon a time in Germany> borrowed the fairy tale genre and transformed the story of Bearman and the six survivors into a universal story that anyone could experience.
    For this reason, Holocaust film <Once upon a time in Germany> can be evaluated as a film that overcomes the Holocaust boredom and presents new possibilities to continue to talk about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