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 (Study on Seok-jae Seo Byeong-O's Extension of Chu-sa Kim Jeong-hee's Calligraphic Styl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7.09
30P 미리보기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1호 / 161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인숙

    초록

    석재(石齋) 서병오(1862〜1936)는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가로 1922년 ‘교남 시서화 연구회(嶠南詩書畫硏究會)’를 설립하여 지역 서화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여러 차례 지내며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서병오는 안진경체에 바탕 한 행서를 잘 썼으며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 서풍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행서, 예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 연구는 서병오의 서예 중 김정희 행서, 예서의 영향을 받았음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을 김정희의 작품과 상호 비교하여 김정희 서풍이 근대기에 서병오의 개성을 통해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서병오는 18세 무렵 서울에 머물 때 김정희의 제자인 석파(石坡) 이하응(1820~1898)의 지우를 받아 운현궁을 드나들게 되었고 이무렵 김정희 서풍을 열심히 배웠다. 이후 진사과에 급제하여 한학지식인으로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시서화를 향유하였고, 중년에 중국을 여행하며 민영익(1860~1914), 포화(1830〜1911) 등과 교유하며 그들의 작품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서병오는 50대 말경부터 서화가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만년에 이르러 다시 김정희의 다양한 필적을 연구하며 학습하였다.
    서병오는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로 대변되는 김정희의 서화론과 우연적 의지를 중시하는 ‘우연욕서(偶然欲書)’의 창작론을 수용하였으며, 김정희가 주장한 서예 학습론을 따라 서한 예서인 고예(古隸) 임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1920년대 후반 이후 서병오는 안진경체의 바탕 위에 김정희의 금석기 있는 강건한 획법과 참치한 결구법을 소화한 김정희풍 행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예서에 있어서도 이체자(異體字)의 활용, 곡직(曲直)을 자유롭게 운용한 필획, 졸박한 결구, 파격적인 장법 등 김정희 예서의 조형성을 자신의 필성(筆性)으로 소화한 예서 작품을 남겼다.
    서병오는 근대기 서예가로는 거의 유일하게 김정희 서풍을 계승하며 김정희 서풍이 갖는 조형성을 자신의 개성으로 재창조하였다. 그가 만년에 김정희 서풍을 다시 배운 이유는 한중일을 여행한 풍부한 견문을 통해 김정희가 이룬 탁월한 조형적 성취를 확신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김정희의 제자인 이하응의 문하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김정희 서풍을 접했던 개인적 연고와 서병오가 태어나고 활동한 대구지역의 김정희 서예 애호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 서병오가 외국의 대가가 아니라 조선시대 김정희를 학습한 사실은 중국이나 일본의 당대 유행서풍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은 근대기 서단에서 주목되는 사실이다. 서병오는 성숙한 자기화를 통해 김정희 서풍의 확장을 이루어 국제화의 시기였던 근대기에 조선의 서예 전통을 계승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 that Seokjae Seo Byeong-oh in modern times inherited the calligraphic writing style of Kim Jeong-hui, by looking at the works of Seo Byeong-oh which were influenced by Kim Jeong-hui. In 1922, Seo Byeong-oh founded the first art organization in Daegu,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had a great influence on it. He was very active in various areas and participated in Joseon art exhibition as a panel of judges five times in a row from the beginning.
    Seo Byeong-oh, in his 20s, 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by coming in and out as a pupil of Seokpa Lee Ha-eung, and he was also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theory of writing opportunity in ‘spontaneous urge for writing’ of Kim Jeong-hui which are represented by ‘character fragrance’, ‘book of spirit’. Seo Byeong-oh followed the theory of learning calligraphy asserted by Kim Jeong-hui and left some copied works which were written in Ye-seo that were commonly used in correspondences.
    After stopping in the middle, Seo Byeong-oh re-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after his 60s by studyi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signboards in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of this kind of learning, Seo Byeong-oh’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combined the un-fancy beauty of Kim Jeong-hui’s Haeng-seo on the basis of Anjingyeongche. In his Ye-seo, Seo Byeong-oh showed his matured personalization combined his own style with the formativeness of Kim Jeong-hui’s Ye-seo and the un-fancy beauty of Ye-se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s why Seo Byeong-oh, as a modern calligrapher, became almost the only successor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style. Seo Byeong-oh inherited the calligraphic tradition from Joseon dynasty by learning and making use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in modern times when the calligraphic styles from China and Japan were flowing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