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기천견록』 「왕제」의 구성과 권근의 예제 인식 (Composition of the “Royal Regulations” in the Superficial Annotations on the Book of Rites and Kwon Geun’s Perception of the Ritual System)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5.04
43P 미리보기
『예기천견록』 「왕제」의 구성과 권근의 예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66호 / 35 ~ 77페이지
    · 저자명 : 장래건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권근의 『예기천견록』 「왕제」의 구성을 분석하고 권근의 예제 인식을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권근의 『예기천견록』은 조선 초기의 예학(禮學) 수준을 보여주는 자료로 관심을 받아왔지만, 주로 권근 성리학의 성격을 가늠할 수 있는 편들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런 까닭에 「왕제」는 권근이 경문 재배치와 주석 편집에 애쓴 편 중 하나임에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예기천견록』 「왕제」를 분석해서 권근이 그 문헌에 담긴 예제를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살펴보았다.
    권근은 독자적인 관점에서 「왕제」의 경문을 재배치하고 주제별로 장을 나누었다. 그는 「왕제」가 ①천자부터 사까지의 녹읍과 작위에 관한 규정, ②조빙·순수·제사·정벌·사냥에 관한 천자와 제후의 예법, ③제사와 상례, ④총재·사공·사도·사마 등의 직무, ⑤풍속의 교화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한편, 권근은 『예기집설』 「왕제」의 주석을 대폭 편집하기도 했다. 그러나 주석 편집 작업은 『예기천견록』「왕제」 제1장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모든 주석이 일관된 기준에 따라 수정된 것은 아니었다.
    권근은 「왕제」가 삼대(三代)의 문물제도를 비교적 온전히 담아낸 완결된 텍스트라 생각했다. 그가 경문을 재배치하고 주석을 편집한 것은 그런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제1장의 주석에서 경문의 신뢰도를 의심하는 견해를 삭제하고 「왕제」의 경문이 선왕의 제도임을 확인하려 했다. 그리고 그 전제에서 「왕제」에 기록된 예제의 위계를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내려 했다. 편차 재조정은 바로 그런 노력의 일환이었다. 권근은 「왕제」의 예제가 완결성을 갖추었다는 전제 위에서 그 편이 분명한 위계와 직분에 따라 체계적으로 편성된 것임을 밝히려 했다. 이런 권근의 예(禮) 인식은 예의 핵심을 ‘질서’로 파악하고 계서적 국가 질서를 재건하려 했던 여말선초의 정치적 과제와도 맞물린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the “Royal Regulations(王制)” in the Superficial Annotations on the Book of Rites(禮記淺見錄) and to historically examine Kwon Geun’s perception of the ritual system. Kwon Geun’s Superficial Annotations on the Book of Rites has garnered interest as a material exemplifying the advancement of ritual stud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yet the emphasis has primarily been placed on the chapters showcasing Kwon Geun’s neo-Confucian philosophies. As a result, the “Royal Regulation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despite being one of the works in which Kwon Geun took time to rearrange the text and edit the anno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yal Regulations” in the Superficial Annotations on the Book of Rites to understand how Kwon Geun perceived the system of the three dynasties.
    Kwon Geun reorganized the text of the “Royal Regulations” from his own perspective and divided the chapters by theme. He believed that the “Royal Regulations” can be categorized into (1) regulations on wages and titles from the king to the nobles, (2) rituals for the king and feudal lords regarding their audiences at the royal court and visits to the feudal courts, inspection tours of the fiefs, ancestral rites, conquests, and hunting, (3) ancestral rites and funeral rites, (4) the duties of the Chief Minister, the Minister of Works, the*Senior Researcher,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inister of Instruction, and the Minister of War, and (5) the refinement of social customs. Kwon Geun also made extensive edits to the annotations of the “Royal Regulations” in the Superficial Annotations on the Book of Rites. However, these edits to the annotations were primarily made in Chapter 1 of the “Royal Regulations” in the Compilation of commentaries on the Book of Rites(禮記集說), and not all annotations were edited according to a consistent standard.
    Kwon Geun viewed the “Royal Regulations” as a comprehensive and relatively intact record of the culture and institutions of ancient China, an era deemed ideal by Confucian scholars. His rearrangement of the text and editing of the annotations were driven by this belief. He removed the annotations by the two Chengs and Zhu Xi that challenged the original text in his annotations in Chapter 1, seeking to affirm that the “Royal Regulations” accurately depicted the institutions established by former kings. With that premise, Kwon Geun worked to specify and clarify the hierarchy of the ritual system outlined in the “Royal Regulations.” Reorganizing the chapters was part of this endeavor. Assuming that the ritual system in the “Royal Regulations” is complete, Kwon Geun aimed to demonstrate that the chapters were well-structured, adhering to a strict hierarchy and duties. Kwon Geun’s understanding of rituals resonated with Jeong Do-jeon’s belief that “order” was fundamental to rituals and also aligned with the political mission of reestablishing the hierarchical national order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