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 -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 양상」을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f Preceding Research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Correction of Academic Errors - Focusing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 - Focusing on Modern Reconstruction 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2.09
37P 미리보기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 -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6권 / 3호 / 189 ~ 225페이지
    · 저자명 : 이정남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들 가운데 공창제도, 젠더, 섹슈얼리티, 페미니즘, 성매매제도 등의 일부 여성학 관련 연구들에 그대로 악영향을 미친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 양상을 중심으로」를 중심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생 관련 서류’와 ‘창기 관련 서류’의 착각·오독(誤讀)으로 인해 파생된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왜곡된 내용들’을 당대의 사료들과 『서류철』 원문의 정확한 해독과 분석을 통해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하나하나조목조목 올바르게 바로잡았다.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Ⅰ)–기생집단의 근대적 재편 양상을중심으로」에는 1. ‘기생(妓生)≒창기(매음녀)’ 즉 ‘기생(妓生)은 창기(娼妓)와 유사한 존재’ 또는 ‘기생=매음녀’라는 근본적으로 왜곡된 인식 하의 논지 전개, 2.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전문 예술인(藝術人)인 기생(妓生)’과 ‘공인 매춘부(賣春 婦)인 창기(娼妓)’의 실제 법적·정책적 속성 및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인식의 결여(缺如), 3. ‘기생집단’을 ‘다양한 속성의 매음녀(賣淫女)들이 포함된 집단’으로 왜곡, 4. ‘무명색(無名色)’의 정의 오류, 5. ‘색주가(色酒家)’와 ‘작부(酌婦)’의 개념적 정의 및 속성 혼동, 6. ‘법령 그 자체만을 다루는 문헌적 연구’로인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및 ‘기생(妓生)’을 ‘매춘 관련 대상의 범주’에 끼워넣기, 7. ‘의도적인 인용원문의 글자(문맥) 바꾸기’를 통한 사(史)실 왜곡, 8. 미(未) 인가·비(非)설립된 ‘창기조합’인 ‘경성유녀조합’을 ‘최초의 기생조합’으로 오인(誤認), 9. 단속령 발령 날짜 오기(誤記), 10. ‘창기 관련 서류’를 온전히 ‘기생 관련 서류들’로 오독(誤讀), 11. ‘한성기생조합소의 도일(渡日) 공연, 개성(開城) 공연, 경성고아원을 위한 자선연주회 공연’을 ‘한성창기조합소의 공연’으로 변질(變 質), 12. ‘한성창기조합’을 ‘한성기생조합’으로 완전히 오인하여 “‘한성기생조합’ 과 ‘한성창기조합’은 ‘동일한 집단’이었다”, “‘한성기생조합’은 관기 출신 기생들과 창기(매음녀)들이 혼합된 형태로, 혼성적 성격을 띠었다”고 왜곡시키는 등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오독(誤讀)·사(史)적으로 틀린 내용, 그리고 기생(妓生) 에 대한 왜곡된 내용들이 만연해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다양한 오류들은 ‘가무연행자인 예술인(藝術人)으로서의 기생(妓生)의 본질’과 ‘한반도 최초의 민간 여성 예술인(藝術人) 조직인한성기생조합소(漢城妓生組合所)의 본질적인 성격’을 왜곡·타락시키는 결과를초래했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된 내용들은 이제라도 올바르게 정정되어 왜곡된 내용의 반복적 재생산이라는 학술적 악순환을 끊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mong the studies that actively utilized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this study focused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 Focusing on Modern Reconstruction of Gisaeng Group by Suh Jiyoung (2005),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ield of women‘s studies, including thought on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gender, sexuality, and feminism.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historical records and bibliographies of the times to correct the academic errors and misinterpretations caused by misunderstanding the Gisaeng and prostitute-related documents i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 Focusing on Modern Reconstruction of Gisaeng Group involved the following academic errors and distorted facts: (1) Gisaeng were regarded as similar to or fundamentally the same as prostitutes; (2) Suh Jiyoung’s research lacked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legal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roles of Gisaeng as professional entertainers, and of prostitutes as state-regulated prostitutes in the Korean Empire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 the study misunderstood the Gisaeng Group as a group of prostitut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4) it incorrectly defined Mumyeongsaek; (5) it distort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ekjuga and Jakbu; (6) it made a hasty generalization by focusing on literary studies that covered the legislation itself; (7) it also distorted historical facts by including Gisaeng in the category of prostitutes and intentionally changing the texts (contexts) of the reference sources; (8) it misunderstood Gyeongseong Prostitute Association, an unauthorized and unfounded association of prostitutes, as the first association of Gisaeng; (9) it also miswrote the date when regulations were enforced on Gisaeng; (10) it mistook the documents related to prostitutes as the documents related to Gisaeng; (11) it misattributed th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s concert in Japan, Gaeseong, and the charity concert at Gyeongseong Orphanage to the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12) and it incorrectly regarded the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as th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considered th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nd the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to be the same association, and posited that th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comprised of both prostitutes and former Gisaeng.
    In conclusion, such academic errors resulted in distorting the essence of Gisaeng as entertainers specializing in singing and dance performances 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s the first private organization of female artists in Korea. These errors must be corrected to end the cycle of producing and spreading historically inaccurate and distorted in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