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일전쟁기 조일 간의 군사 관계 - 양호도순무영의 설치 과정과 조선군 지휘 권한 문제를 중심으로 - (Military Relations between the Sino - Japanese Wa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Yangho - dosunmuyoung and the Issue of Command Authority of the Joseon Arm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6.12
36P 미리보기
청일전쟁기 조일 간의 군사 관계 - 양호도순무영의 설치 과정과 조선군 지휘 권한 문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 / 79호 / 37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진홍

    초록

    양호도순무영은 경복궁 점령으로 해체되었던 조선군의 군사력이 하나의 지휘부로 재정비된 것으로,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파견되는 조선군 부대와 지방군에 대한 지휘 권한을 가진 기구였으며 선봉진을 통해 파견부대를 지휘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평양 전투 이후 일본의 압력을 받던 조선 정부가 일본군의 조선군에 대한 지휘 권한 요구를 수용하면서 양호도순무영은 본래 조선군 지휘부가 가지는 지휘 권한을 제한당했다.
    본래 양호도순무영이 조선군 파견부대는 지휘해야 하지만, 일본군은 일본군 병참사령부와 일본 공사관의 훈련에 따라 이들 양호도순무영 파견부대를 직접 지휘하려 했다. 양호도순무영의 지휘부이자 파견부대 지휘관을 겸직한 이규태는 자신의 ‘선봉장’ 지위를 통해 양호도순무영의 지휘 권한을 관철하려 했지만, 일본군은 이규태를 파견부대 지휘관으로 인정할 뿐이었다.
    일본군은 조선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합의를 근거로 들어 ‘선봉장’ 이규태의 지휘 권한을 철저히 부정하며 양호도순무영의 조선군 지휘 권한을 유명무실화하고 조선군에 대한 지휘 권한을 완전히 장악해 나갔다. 그러자 선봉진을 통해 파견부대를 지휘하는 양호도순무영의 지휘체제 역시 무너졌고, 양호도순무영 해체 이후 일본군은 조선군을 일본군식 체제로 재편성했다. 이처럼 양호도순무영과 일본군의 조선군 지휘 권한이 충돌하는 과정은 일본군이 직접 조선군을 통제하고 지휘하는 체제로 변화하는 과정이었다.

    영어초록

    Yangho-dosunmuyoung was the military organization that was reorganized into a single command by the Joseon army, which had been dissolved by the occupation of Kyungbok Palace, in order to suppress the Donghak peasants' army. It had the commanding authority for the Joseon army and the local army dispatched for the suppression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had a system of directing the field troops through 'the spearhead command'. However, the Joseon government, which was under Japanese pressure after the Pyongyang battle, accepted the request of command of the Japanese army to the Joseon army, and Yangho-dosunmuyoung was originally limited to the command authority of the Joseon army.
    Originally Yangho-dosunmuyoung would be commanded by the field troops of the Joseon army, but the Japanese army attempted to directly direct these field troops of the Joseon Army under the order of the Japanese army logistics command and the Japanese legation. Lee Gyu-tae, who also served as commanding officer and field troop commander of Yangho-dosunmuyoung, tried to carry out the command authority of Yangho-dosunmuyoung through his position of 'the spearhead commander', but the Japanese army commander only recognized Lee as a field troop commander.
    On the basis of the agreement between the Joseon government and the Japanese government, the Japanese army commander thoroughly denied the commanding authority of Lee's 'the spearhead commander', made Yangho-dosunmuyoung's authority to command the Joseon army became to be nominal. Therefore the Japanese army commander fully took command authority of the Joseon army. Then the command system of Yangho-dosunmuyoung, who had commanded field troops through 'the spearhead command', also collapsed. After the disband of Yangho-dosunmuyoung, the Japanese army reorganized the Joseon army into a Japanese army system. To conclude, the process of conflict for command authority of the Joseon army between Yangho-dosunmuyoung and the Japanese army was transformed into a system in which the Japanese army directly controlled and commanded the Joseon ar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현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