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위한 신학적 성찰: 신학적 성찰을 위한 영적 저널 활용을 중심으로 (Self-Supervision and Theological Reflection of Pastoral Counselors: Facilitating a Spiritual Journal as a Tool of Theological Reflec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0.11
39P 미리보기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위한 신학적 성찰: 신학적 성찰을 위한 영적 저널 활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35권 / 335 ~ 373페이지
    · 저자명 : 허영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자의 셀프 슈퍼비전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셀프 슈퍼비전이란 슈퍼바이저에게서 배운 내용을 스스로의 임상활동에 적용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 왔다. 그러나 구성주의의 영향과 함께 셀프 슈퍼비전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현시점의 모든 역동과 감정, 생각 등을 비롯하여 그 이후의 과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셀프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지의 미래 목표가 아닌 임상의 초기에서부터 훈련해야 할 목표가 될 수 있다. 셀프 슈퍼비전의 핵심 개념은 성찰이다. 성찰은 지나간 것을 되돌아본다는 의미도 있지만 현재 일어나고 있는 관계의 역동, 감정, 생각, 신념, 가치 태도, 통찰 등에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나 목회상담자로서 일반적인 성찰 질문과 성찰적 사고만으로써 상담을 목회적이 되게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에 패트리샤 오코넬 킬런과 죤 드 비어(Patricia O’connel Killen & John de Beer)가 제안한 신학적 성찰의 틀을 수용한다. 신학적 성찰은 우리의 경험을 기독교의 영적 전통과 대화하는 것을 추구한다. 영적 저널(spiritual journal)은 우리의 경험과 영적 자원과의 대화 과정을 이끌어 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어지는 통찰들을 외재화하고 보관할 그릇으로서 유용하다. 영적 저널을 셀프 슈퍼비전의 도구로 활용하여 임상활동의 초기부터 훈련해 나간다면 모든 의무적 훈련 과정이 끝난 후에도 목회상담자로서 셀프 슈퍼비전을 계속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 안에는 슈퍼바이저로부터 받았던 모든 슈퍼비전의 경험도 재활성화될 것이다. 더 나아가 영적 저널은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체험하게 하고 목회상담과 슈퍼비전에 있어서 역동적인 성령님의 역사를 체험하게 하는 장을 여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elf-supervision for pastoral counselors. Self-supervision has been regarded as the process of applying all things the supervisee has learned from the supervisor to his(her) own clinical work. However, with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ism, self-supervision has come to imply all dynamics, feelings, and thoughts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of the present time and the process after counseling sessions. From that point of view, self-supervision cannot be regarded as a future goal but can be a goal from the early stage of supervisee training. Reflection is the core concept of self-supervision, Reflection means to think deeply about something in the past. Also, reflection focuses on relational dynamics, feeling, thinking, belief, value, attitude, and insight of the present time. However, general reflective ques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are not enough to make our counseling become pastoral counseling. For this reason, this study accepts the frame of theological reflection by Patricia O’Connell Killen and John de Beer. Theological reflection pursues the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 spiritual journal can be a tool to process conversation between our experiences and Christian spiritual traditions and as a vessel to exteriorize and contain insights gained from the process. If counselor trainees use a spiritual journal as a tool of self-supervision from the early stage of clinical training, they can proceed with self-supervision independently even after completing their mandatory training course. In their self-supervision, all things that they had learned from previous supervision will be reactivated. Furthermore, a spiritual journal will contribute to open the field to experience intimacy with God and the dynamic work of the Holy Spirit in pastoral counseling and super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