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조대 違豫論과 그에 기반한 역사 인식-南宋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Can an Ill Monarch Perform His Duties as a Rul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of Monarchs’ Ailm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Historical Awareness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9.03
34P 미리보기
영조대 違豫論과 그에 기반한 역사 인식-南宋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8호 / 109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동화

    초록

    본고는 英祖(재위 1724~1776) 시기 지식인들이 이전의 군주였던 景宗(재위 1720~1724)의 병증, 즉 違豫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했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노론계 지식인들이 주로 활용하였던 南宋(1127~1279) 光宗(재위 1189~1194)-寧宗(재위 1194~1224)의 승계 사례가 서로 다른 당색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경종의 병증, 즉 違豫는 辛壬獄事(1721~1722, 경종 1~2)와 영조의 즉위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였기 때문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은 경종의 병증과 관련된 논의를 정치적 과정으로 이해한 경향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기존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종의 병증에 관한 논의를 사상적으로도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에 더해 違豫論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三宗血脈論을 다시 생각해보는 작은 단서를 제시하고자 했다.
    영조 즉위 초부터 노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 즉 違豫를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현실 정치의 제약으로 인해 영조에게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 노론계 지식인들은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곧바로 경종-영조의 사례에 적용하며 영조 즉위의 정당성과 노론의리의 우월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들은 병증으로 喪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한 경종의 행위를 우선적으로 비판했다. 본고는 노론계 지식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李縡(1680~1746)․金元行(1702~1772) 등을 살펴보았다. 이에 반해 소론․남인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에 대해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우선 영조 당대 정국에 참여하고 있던 소론계 지식인들은 경종의 병증을 직접적으로 거론하지 말 것을 주장하는 등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본고에서 남인계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한 李瀷(1681~1763)은 노론계 지식인들이 긍정적으로 활용한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정반대로 평가했다. 남송 광종-영종의 사례를 찬탈로 규정한 이익은 경종-영조의 승계 과정을 노론계와 다르게 이해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英祖 (1694~1776; r. 1724~1776)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1392~1910) perceived the illness of King Gyeongjong 景宗 (1688~1724; r. 1720~1724), the preceding ruler-i. e., a monarch’s ailment 違豫-and rationalized their arguments.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i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case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Emperor Guangzong 光宗 (1147~1200; r. 1189~1194) to Emperor Ningzong 寧宗 (1168~ 1224; r. 1194~1224)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南宋 (1127~1279) in China, mainly cited by intellectuals of the Old Doctrine 老論 (Noron) faction, was understood by intellectuals from disparate factional affiliations 黨色. Because King Gyeongjong’s illness, or a monarch’s ailment,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the Treason Case of 1721~1722 辛壬獄事 (Sinim Oksa) and King Yeo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Despite many fruits of research,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tended to understand discuss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as a political process.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grasp discussions on the monarch’s illness ideologically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In addition, it seeks to present a modest hint for rethinking the theory of the lineage of the three kings 三宗血脈論 [i. e., Kings Hyojong 孝宗 (1619~1659; r. 1649~1659), Hyeonjong 顯宗 (1641~1674; r. 1659~ 1674), and Sukjong 肅宗 (1661~1720; r. 1674~1720)],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monarchs’ ailments 違豫論.
    From the early years of King Yeongjo’s reign,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argued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or the monarch’s ailment, must be elucidated clearly. Such an opinion on the part of the Old Doctrine faction was partly accepted by King Yeongjo due to the limitations of Realpolitik. Directly applying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o that of Kings Gyeongjong and Yeongjo, however,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sought to demonstrate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s enthronement and the superiority of the value of righteousness and integrity 義理 that they espoused. These figures first criticized King Gyeongjong’s failure properly to perform mourning rites 喪禮 due to his illness.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this study examines figures including Yi Jae 李縡 (1680~1746) and Gim Won-haeng 金元行 (1702~1772). On the contrary, intellectuals from the Young Doctrine 少論 (Soron) faction and the Southern 南人 (Namin) faction expressed divergent opinions on King Gyeongjong’s illness. First, intellectuals of the Young Doctrine faction, who were participants in political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sponded passively, claiming that King Gyeongjong’s illness should not be mentioned directly. In contrast, Yi Ik 李瀷 (1681~1763), who is presented in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figure from the Southern faction, assess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cited positively by the Old Doctrine faction, in a directly opposite manner. Yi Ik, who defined the case of Emperors Guangzong and Ningzo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as usurpation, perceive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from King Gyeongjong to King Yeongjo in a way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of intellectuals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