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크리티컬 리터러시 기반의 영문학 강의 콘텐츠 개발:『오만과 편견』과 패러디 텍스트를 중심으로 (Teaching English Literature on the Platform of Critical Literacy: Pride and Prejudice and Its Parody tex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크리티컬 리터러시 기반의 영문학 강의 콘텐츠 개발:『오만과 편견』과 패러디 텍스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미문학교육 / 20권 / 3호 / 91 ~ 116페이지
    · 저자명 : 조지현, 조희정

    초록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using theori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Critical literacy, which applies th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al pedagogy to literary eduction, provides specific questions for delving into literary texts. In a classroom that educates critical literacy, students no longer remain as merely passive recipients of the teacher’s instruction; rather, students perform an active role in a discussion-oriented classroom and foster the ability to read texts in critical and creative ways. Especially, parody texts can function as effective material in teaching students to attain critical literacy. Parody texts tend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their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ext raise interesting issues that can be addressed in relation to social/historical contexts.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and Bridget Jones’s Diary both re-write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in their own ways and reveal important points in revisiting central themes and problems of the original text. Among those, this paper focus on gender roles,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social class, suggesting the ways in which the teacher can lead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exts. Students are expected to approach critically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woman, the meaning of marriage, and socially constructed tast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lso, they may further develop their understanding by producing their own re-writes of Pride and Prejudice in diverse ways, responding actively to the social problems that surround their lives.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and pract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nglish literature classroom, using theories based on critical pedagogy. Critical literacy, which applies the important concepts of critical pedagogy to literary eduction, provides specific questions for delving into literary texts. In a classroom that educates critical literacy, students no longer remain as merely passive recipients of the teacher’s instruction; rather, students perform an active role in a discussion-oriented classroom and foster the ability to read texts in critical and creative ways. Especially, parody texts can function as effective material in teaching students to attain critical literacy. Parody texts tend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original text, as their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text raise interesting issues that can be addressed in relation to social/historical contexts. For example, Pride and Prejudice and Zombies and Bridget Jones’s Diary both re-write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in their own ways and reveal important points in revisiting central themes and problems of the original text. Among those, this paper focus on gender roles, the institution of marriage, and social class, suggesting the ways in which the teacher can lead studen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exts. Students are expected to approach critically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woman, the meaning of marriage, and socially constructed tast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lso, they may further develop their understanding by producing their own re-writes of Pride and Prejudice in diverse ways, responding actively to the social problems that surround thei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미문학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